미래는 서로 다른 문화를 연결하는 사람들의 시대

사용자 삽입 이미지
source : http://www.flickr.com/photos/poptech2006/2971812778/
에릭 허스만이라는(Erik Hersman) 최고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있다. 그는 미국의 선교사로 남부 수단과 케냐에서 성경을 번역하던 부모님에게서 태어나서 아프리카에서 자랐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다시 돌아와서 그는 미국 해병대에서 복무를 하였고, 개발자로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다가 돌연 케냐로 돌아갔다. 그는 현재 케냐에 살면서 Afrigadget 이라는 유명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이 블로그를 통해서 아프리카의 엔지니어들의 해킹실력을 뽐내면서 재미있는 기술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단순히 블로그로 그치지 않고 iHub 라는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 space)도 운영하고 있다. 이 공간은 케냐의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을 세계의 IT 산업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허스만은 자신의 풍부한 아프리카에서의 경험을 통해서 기콤바(Gikomba), 나이로비(Nairobi) 등의 주요 지역을 자동차로 돌아다니면서, 스와힐리어 등의 전통 아프리카 언어로 현지인들과 소통하고 케냐인으로서의 삶을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아프리카의 이야기를 전세계에 전하고, 반대로 세계와 미국의 기술자로서의 삶을 아프리카에 전하는 전도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오늘날과 같이 세계적인 협업이 중요해지는 시기에는 점점 허스만과 같은 다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들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만나기 어려운 사람들은 단순히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이나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들 이외에도 많다. 우리 사회에서도 직업이 다르거나, 산업이 달라도, 심지어는 살아가는 형편이 달라도 만나기 어려운 그들만의 세상에서 살아가는 사람들로 가득하다. 이렇게 분리되어 있고, 고립된 집단의 융합이나 협업을 위해서는 단순히 이들이 만나게 하는 것 만으로는 부족하다. 이들에게는 서로 다른 그룹의 융합과 협업을 유도할 수 있는 열정을 가진 다리의 역할을 해줄 사람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자신들의 자존심이나 입장만 내세우다가 결국 파국으로 치닫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우리의 정치도 그런 범주에서 해석할 수 있다.  

필자 개인적으로도 여러 가지 경험을 많이 하였는데, 필자가 전공한 학문인 의공학의 경우 대표적인 서로 다른 학문의 융합을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 학문이다. 그런데, 한국에 있을 때 안타까운 현상을 많이 목격하였다. 의학을 전공한 사람이나 공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서로의 자존심 때문에 생각보다 협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되려 상대방의 자존심을 짓밟거나 인정해주지 않고, 자신들의 학문이나 세계를 이해하지 못하면 잘 설명해주기 보다는 그냥 무시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았다. 필자가 의공학이라는 학문을 선택한 것도 어쩌면 양쪽의 이야기를 모두 알아들을 수 있고, 이를 해석하고 다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적합했기 때문이다. 중간에 다리 역할만 잘 하더라도 훌륭한 전문가들의 힘을 끌어내어 많은 일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

허스만과 같은 사람은 미국과 아프리카 양쪽의 내용을 모두 이해할 수 있는 환경에서 나고 자랐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나의 문화와 정치적인 입장, 교육 및 준거집단을 가지고 살아갔기 때문에 이런 다른 문화와 입장의 연대에 대한 감각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기 때문에, 허스만과 같이 양쪽을 이해할 수 있는 환경에서 자라거나 교육받은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개인적으로는 사회적 책임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과거보다 훨씬 복잡해지고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수많은 문제들을 풀어내기 위해서는 서로 개방하고, 이해하며,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끼리의 원활한 소통이 점점 더 많이 필요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기후변화에 대한 전지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국과 인도를 빼놓고서 진정한 진전을 이루어낼 수 있을까? 또한, 점점 많은 민족들이 서로 다른 언어를 쓰면서 같이 이웃으로 살아가기 시작하는데, 이들과 한마디 대화도 나누지 않고서 그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기는 힘들 것이다.

인터넷은 우리들에게 이렇게 섞이는 현상을 급격하게 만들고 있으며, 소셜 웹은 가속페달을 밟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어떤 측면에서는 인터넷과 소셜 웹이 기존에 있던 집단들의 연결만 가속화하고 고립되는 정도만 높히는 경우도 있다. 연결을 위해 만들어진 기술이 되려 특정한 집단의 사고만 강화시키고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한다면 이는 너무나 슬픈 일이다. 어찌보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인터넷과 소셜 웹에서 더욱 다리 역할을 해주는 사람들이 더 많이 필요한지도 모르겠다.

그런 측면에서, 중간에 다리를 놓고 연결을 하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을 많이 찾아내서 이들이 중재를 잘할 수 있도록 조금은 개방된 마음을 가질 필요가 있다. 시간을 가지고 대화와 노력을 한다면, 인류 사회가 가진 정말 많은 문제들을 풀어나갈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이런 다리 역할을 하는 사람이 더욱 많아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참고자료:
The 21st Century MVP: Bridge Personalities Who Happily Span Cultures

글 : 정지훈
출처 : http://health20.kr/2124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