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2015와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CES2015와 사물인터넷, 기싸움 현장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자

사물인터넷을 이끄는 자, 세상을 지배할지니…?

CES2015가 시작되었다.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삼성이나 LG의 움직임에 가장 관심이 많을 것이다. 가전 박람회답게 TV와 냉장고 세탁기 등이 발표되었다. 각각 새로운 기능과 걸출한 성능으로 무장한 녀석들이긴 하지만 새로움에 감동할 한 방은 느껴지지 않는다. 삼성전자의 기조연설을 들어보면 그들의 메시지에서도 새로운 냉장고와 세탁기를 자랑하고 싶은 마음은 느껴지지 않는다. 역시 가장 뜨거운 화두는 사물인터넷, IoT다.

ces
사물인터넷은 뭔가 거창하게 들리지만, 기존 제품에 인터넷망에 연결할 수 있는 부품을 얹은 것에 불과하다. 이전까지 스위치가 해오던 일을 스마트폰이 대신하거나, 자신의 상황에 맞춰 수동으로 했던 일들이 자동화되는 환경을 말한다. 기술 자체가 매우 특별하지는 않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기존의 제품이 인터넷을 더했을 때 무엇이 가능한가’다. 와이파이에 연결된 전등, 인터넷에 연결되는 냉장고와 전자레인지는 어떤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사물인터넷의 강점은 그 대상이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모든 제품’이라는 점이다.

‘모든 제품’이라는 매리트는 무한한 가능성을 뜻하지만, 이와 동시에 호환성이라는 숙제를 만든다. 내가 어떤 제품을 사더라도 내가 구축해놓은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사용할 수 없다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집안의 모든 물건을 삼성의 제품으로 도배한다면 이야기는 쉽다. 기어S를 쓰기 위해서는 갤럭시 스마트폰이 필요한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상황이 그것을 허락지 않는다. 우리를 감싼 상황은 시시각각 변화하고, 우리는 매우 똑똑한 소비자이기 때문이다.

반장이 되고 싶은 삼성전자

K-5애플만큼이나 폐쇄적인 환경을 고집하던 삼성전자가 갑작스레 ‘전방위 협업’을 이야기하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기조연설에 참여했던 미래학자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의 이야기는 삼성전자가 정말 하고 싶은 이야기를 대변한다.

그는 ‘사물인터넷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지만, 플랫폼 호환성이 떨어지고 산업 간 협업도 원활치 않다는 게 커다란 장벽’이라 말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삼성전자의 사물인터넷 기술과 제품은 이러한 개방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 ‘개발자들이 삼성전자의 개방형 플랫폼에 맘껏 참여할 수 있도록 올해 개발자 대회와 스타트업 발굴 등 전체적인 개발자 지원에 1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이야기한다. ‘삼성이랑 놀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 뭐 그런 이야기다.

K-7앞서 말했듯이 사물 인터넷에 필요한 기술은 그다지 높은 레벨의 것이 아니다. 누구나 원하면 도전할 수 있는 그런 분야다. 문제는 그것을 어디에 사용할 수 있고, 얼마나 다양한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인가다. 뒤따르는 파트너 업체의 질과 양이 가장 중요한 경쟁력이라는 말이다. 기술의 상향 평준화로 모든 기업이 비슷비슷한 물건을 만들어내는 상황이니 최후의 승자는 결국 가장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가 될 것이다.

앞서 꽤 그럴듯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결국 삼성전자가 참여하고 있는 OIC(Open Interconnect Consortium)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겠다는 삼성의 의지표명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다. OIC는 삼성전자, 인텔, 델 등이 참여한 사물인터넷의 표준을 확립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체다. 삼성전자 진영으로 참여한다면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일종의 러브콜인 셈이다. 차갑고 도도한 도시 남자지만, 내 여자에게만은 따듯한 삼성이 되겠다는 이야기.

K-12삼성전자의 이런 움직임은 ‘UHD 얼라이언스’의 설립을 봐도 정확히 알 수 있다. UHD 얼라이언스는 파나소닉, 샤프, 소니와 LG 등이 참여하고, 20세기폭스 디즈니는 물론, 돌비나 테크니컬러와 함께 차세대 영상 엔터테인먼트의 기준을 정립하는 기관으로 일종의 업계 표준을 규정하는 곳이다. ‘소비자들에게 좋은 화질의 콘텐츠를 보여주는 게 얼라이언스의 기본목표’라는데, ‘삼성전자의 주도 아래’라는 말이 생략된 것 같다.

오픈 소스가 세상의 흐름이라면 따르겠지만, 주도권을 놓을 생각은 결코 없다는 삼성전자의 강한 의지가 엿보인다. 과연 삼성전자는 다가오는 IoT의 시대의 주도자가 될 수 있을까?

부반장은 싫은 LG전자

K-8LG 진영의 상황도 삼성전자와 크게 다르지 않다. 사물인터넷으로 크게 한번 도약하고 싶은 마음은 분명한데, 이놈의 표준이 문제다. LG는 올씬 얼라이언스(AllSeen Alliance)에 참여하고 있다. LG와 퀄컴, 그리고 샤프와 파나소닉, 하이얼 등이 참여하고 있는 단체로 생각하는 방식에는 다소 차이는 있지만, 결국 사물인터넷 표준을 규정하는 단체다.

이들 역시 개방성을 토대로 기기 간 호환성이 가장 큰 약점으로 지적된 IoT의 숙제를 풀어나가겠다 이야기한다. 사물인터넷 플랫폼 ‘올조인(AllJoyn)’을 통하면 문제 될 것이 없다고 말이다. 결국 ‘우리가 표준이 되면 해결될 문제입니다.’ 같은 이야기다. 업체 간의 경쟁은 피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국내에 한정된 시장이 아니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인 만큼, 국내의 두 기업이 한 진영에서 협업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면 더욱 좋았을 텐데 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K-11사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신경 쓸 필요 없는 이야기다. 우리 입장에서야 매력적인 상품이 많은 쪽으로 이동하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다만 어느 한쪽에 편승해야 하는 업체 입장에서는 심장이 쫄깃해질 정도의 스트레스일 것이다. 더구나 구글이나 애플 같은 거대한 기업이 아직까지 이렇다 할 입장을 보이지 않은 상황인지라 더욱 상황은 모호하다. 두 기업이 어느 한쪽 진영에 참여해 큰 힘이 되어 줄 수도 있고, 각자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어쨌거나 지난 IFA2014에 이어 CES2015에서도 삼성전자와 LG는 사물인터넷을 중요한 화두로 내세웠다. 삼성전자의 경우 2017년까지 TV, 2020년까지 모든 제품을 IoT화 하겠다는 비전까지 제시하였다. 지난 2012년부터 끊임없이 주목받는 트렌드로 선정되면서도 이렇다 할 움직임을 보여주지 못했던 사물인터넷이 조금은 본격적으로 움직일 것이라는 신호탄이 될지도 모를 일이다.

Allseen OIC

OIC와 올씬 사이의 승자가 결정되기 이전까지는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할 것이다. 물론, 소비자 입장에서 크게 걱정할 부분은 아니다. 어느 쪽이 승리하건 패배한 진영을 품을 수 있는 관대함을 보여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한 발짝 떨어져서 세상이 변해가는 모습을 그저 즐기면 된다. 아쉬운 점은 올해도 이렇다 할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점이다. 아직은 초등학생 시절 ‘미래의 생활은 어떤 모습일까요? 상상해 봅시다.’같은 문제의 모범답안을 듣는 느낌을 벗어나기 어렵다.

 

김상오 shougo@venturesquare.net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