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결정이 필요한 리더가 만날 5가지 상황

크네빈 프레임워크(Cynefin Framework)는 IBM 컨설턴트였던 데이브 스노든(Dave Snowden)이 제시한 것으로 한마디로 말하면 의사 결정을 위한 프레임워크다. 상황이 얼마나 복잡한지 또 이를 어떻게 인지하는냐에 따라 갖은 방법을 적용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제시한 게 바로 크네빈 프레임워크인 것이다.

조직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리더는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결정, 행동에 옮길 필요가 있다. 이 때 적절한 판단을 내리게 해주는 의사 결정을 위한 프레임워크는 중요하다.

크네빈 프레임워크는 먼저 상황에 따라 5가지 영역으로 구분한다. 먼저 단순함(Simple). 단순함은 말 그대로 문제의 원인과 결과로 인한 인과 관계가 누가 봐도 분명한 상황을 말한다. 이런 상황이라면 리더는 상황을 인식하고 분류, 실천에 필요한 최선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예를 들어 지급한 대출 금액이 필요한 것보다 적었다는 문제 인식이 있다면 대출금 상황 계획서를 검토, 앞으로의 지불 계획을 짠다는 분류, 결제를 받지 않거나 자금을 투여하는 대응 식으로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선 리더와 기업 내 구성원 간 의견 불일치가 일어나는 일은 매우 드물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회의나 커뮤니케이션도 불필요하다. 의사 결정은 다른 사람에게 맡겨도 될 만큼 쉽게 내릴 수 있다. 이 상황에선 접근 방식 자체의 효율화가 중요하다.

다음은 복합적(Complicated). 복합적인 상황은 인과 관계가 분명했던 단순함과는 달리 해결 방법이 여러 개인 경우다. 이 때 리더는 인식→분석→대응이라는 프레임워크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복합적인 상황에 대한 접근 방식은 단순함과 달리 간혹 전문가의 조언이나 의견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운전 중 자동차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진단해줄 전문가를 부르는 상황에 비유할 수 있다.

복합적 상황으로 판단되는 상황에선 최선책이 아닌 적절한 대책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는 논란을 부르는 제안을 피하는 경향이 있고 전문가가 아닌 사람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는 경향도 있는 만큼 리더는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도 다른 의견까지 고려하는 게 문제 해결에 중요하다. 분석이나 조사 같은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적 접근을 하는 것이다.

다음은 복잡함(Complex)이다. 크레빈 프레임워크에선 복잡함이란 정답은 하나가 존재하지만 이 대답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모르는 상황을 의미한다. 수많은 기업에서 일어나는 난잡한 분기나 경영진 교체, 인수 합병이라는 문제가 이런 복잡함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런 복잡한 상황에선 문제가 발생하면 인과 관계를 이해하기 어려워 사전에 파악하는 게 불가능하다. 리더는 먼저 문제를 조사, 인식하고 대응하면서 논의 중 돌발적으로 나온 대응 조치를 취하는 게 중요하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많은 상황보다 방법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오히려 더 창의적 아이디어가 나오는 일도 있다.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인 만큼 정답보다는 패턴을 찾는 게 좋다.

다음은 카오스(Chaotic). 카오스는 원인과 결과의 인과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데 문제 해결에 대한 정답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실제로 있었던 일로 비유하자면 지난 2001년 9월 11일 발생한 911 테러가 카오스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리더는 먼저 행동을 일으킨 상황과 불안정한 장소, 안정적 위치 등을 인식해야 한다. 이를 통해 카오스에서 복잡함으로 상황을 바꿔 대응해야 하는 것. 이 때 의사소통은 리더가 팀원에게 내리는 하향식이다. 조언을 구할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일단 상황 정리를 위한 빠른 행동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카오스는 위기 관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마지막은 어수선함(disorder). 아직 인과 관계가 어떤 유형인지도 파악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 원인과 결과에 대한 인과관계 유형조차 파악되어 있는 않은 상태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