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모든 인터넷의 역사 (57) – 물리적 웹과 실시간 웹의 시대

미래의 인터넷과 웹에 대한 개념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정보와 데이터가 중심이 되는 네트워크에서 물리적인 물체나 공간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인터넷과 웹의 시대로 발전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트루벤처스(http://www.truventures.com)의 존 캘러건(Jon Callaghan)은 이런 새로운 웹의 시대를 일컫는 용어로 물리적 웹(physical web)이라는 단어를 이용하였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전종홍 책임연구원은 사물웹(Web of Things)이라는 용어로 이런 변화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물리적 웹(Physical Web)의 시대

물리적 웹이란, 물리적이고 실제 현실세계에서 느끼고 실체화되어 있는 것들의 웹이라는 의미인데, 실제로 포스퀘어(foursquare)나 엘프(Yelp)와 같은 서비스의 경우 물리적인 생활의 순간에 가상의 웹의 장점을 엮어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서비스들은 우리들의 위치를 소셜 그래프와 연결을 하면서 웹 기반으로 트래킹을 하거나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결국 어느 시간에 어느 위치라는 실제 상상가능한 물리적인 실체를 웹의 형태로 엮은 것이다. 이를 통해 인터넷과 웹이 가지고 있는 순간적인 경험을 영속성이 훨씬 강하고 자원의 희소성을 가지고 있는 실세계의 물체 또는 활동에 연결한다.

예를 들어서 생각해보자. 어떤 레스토랑에 체크인을 하고, 어쩌면 쿠폰을 하나 받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 다음에는 레스토랑에서 맛있는 음식을 먹는다. 또는 근처의 맛있는 레스토랑을 찾아보고 리뷰를 읽어본 뒤에 괜찮은 곳을 골라서 이동을 한다. 자신의 경험을 간단히 올리기도 하고, 일주일이 지난 뒤에 이런 전체적인 활동을 리뷰할 수도 있다. 이는 어찌보면 소중한 제품이나 서비스 경험의 기록들이다. 이들이 소셜 네트워크나 크라우드 소싱의 힘을 빌어서 강화가 되면 자신을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향성을 바꿀 수 있다. 이처럼 실세계의 물리적인 실체와 연결된 웹의 경험은 앞으로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다.

from Wikipedia.org
from Wikipedia.org

스마트 폰이 일으키는 가장 커다란 혁명은 어쩌면 바로 물리적 웹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위치센서를 활용한 위치의 웹이 하나의 예라면, 우리 눈앞에 보이는 사진과 영상들, RFID 칩이나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QR 코드 등이 모두 물리적 웹을 구성하는 중요한 노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을 관리하고 연결하는 앱들과 이 앱들의 웹이 새로운 물리적 웹의 인프라를 구성하게 되면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실체화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사물인터넷의 웹이라는 의미로 사물웹(Web of Things)으로 표현할 수도 있겠다.

물리적 웹의 대상이 되는 것에는 객체(Object)와 활동(Activity)로 나눌 수 있을 것으로 보는데, 객체에 해당하는 것은 우리가 무엇(What?)에 해당하는 질문에 답을 할 수 있는 것이 될 것이고, 활동에 해당하는 것은 어떻게(How?)에 대한 답을 하는 것이 된다. 달리 말하면 활동은 동사(verb), 객체는 명사(noun)가 되면서 이들의 조합이 하나의 물리적 웹의 단위가 된다.

예를 들어, 동사로 검색하다(search)와 위치(location)을 조합하면 “위치를 검색한다”가 하나의 단위가 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접근방법으로 액티비티 스트림(Activity Stream)이라는 표준이 정의되고 있기도 하다.

다양한 앱이나 서비스 등이 물리적 웹의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물리적인 세상과 웹을 연결하고 이를 활용하여 우리가 현실세계에서 느끼는 경험을 증진시키는 것 … 이것이 앞으로 우리들이 만날 미래의 웹의 중요한 모습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실시간 웹(Real-Time Web)의 대두

영어로 “Web”이 거미줄을 의미하듯이, 정말 다양한 링크가 수 많은 웹 페이지들을 엮고 있다. 여기에 블로그 포스트나 페이스북 등의 소셜 미디어, 트위터와 같은 마이크로블로그 등이 또 다른 의미가 있는 것은 이들이 그 사람 자체 또는 작성자가 만들어 놓은 가상의 정체성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이런 가상의 공간에 떠 있는 정보나 데이터, 콘텐츠 등을 실시간으로 접근할 수 있는 일반화된 방법은 현재로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로서는 우리들이 직접 이런 정보나 콘텐츠를 검색 등의 서비스를 통해서 찾아들어가야 한다.

구글과 같은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결국 원하는 페이지나 정보를 찾기 위함이다. 그런데, 현재의 대부분의 검색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최신성 보다는 로봇이 찾아와서 복사를 한 페이지를 분석하고, 여기에 얼마나 많은 링크가 붙어 있고 키워드나 본문에 들어 있는 단어 등을 참고로 하여 검색의 순위를 결정하기 때문에 실시간하고는 거리가 멀었다. 그렇지만, 최근 구글 검색의 경우 이런 실시간 성을 가미하기 시작했다.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실시간으로 바뀌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있으니 이는 과거와는 달리 실시간적인 특징을 점점 더 많이 가미하고 있는 셈이다.

그렇지만, 뭐니뭐니해도 실시간 웹의 시대로의 진입을 알려주는 가장 중요한 서비스는 구글 나우(Google Now)다. 구글 나우는 안드로이드를 통해서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해서, 2013년 중반부터는 애플 iOS도 지원하기 시작했다.

구글 나우는 개인 특화 서비스인 카드(날씨, 지역, 리뷰.. 등의 별도 개인화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가 노출되고, 로그인을 하면 개인에 맞춘 정보를 그때 그때 보여준다. 기초 카드로 날씨 정보, 스포츠 경기 결과, 영화 정보, 주식, 일정 등을 포함한 15가지가 제공되며,  설정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교통정보 카드는 위치를 인지해서 해당 위치의 교통 상황을 알려주고, 날씨카드에서는 집, 직장 또는 현재 위치에서의 날씨를 주기적으로 표시하며, 스포츠 카드에서는 관심 있는 팀이 경기를 할 때 점수를 표시한다. 캘린더 카드는 다음 일정을 표시하고, 번역카드는 외국을 여행할 때 단어와 구문을 번역해주며, 환율카드는 현재 위치의 최근 환율변환 정보를 표시하는 식이다.

일정관리 기능을 이용하면, 해야 할 일, 가야 할 곳, 교통상황 등을 연동해 일정을 관리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탔을 때 교통정보 기능을 활용해 한달간 걷거나 자전거 탄 거리를 요약해 보여주고, 약속이 있는 거리를 지정하면 교통상황에 기반해 출발시간과 도착예정 시간 등을 알려준다. 근처의 바, 식당, 또는 사용자가 관심 있을 만한 장소를 추천해주며, 구글 지도로 바로 이동해 리뷰와 상세정보와 함께 예약도 진행할 수 있다.

박물관이나 상점 근처에서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예술품을 검색하거나 제품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는데, 향후 구글 글래스와 통합된다면 완전히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애플의 시리(Siri)도 이런 맥락의 연장선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음성인식이 가능한 인공지능 개인비서가 항상 스마트폰과 함께 한다면, 실시간적으로 그 때의 위치와 시간에 맞추어 자신에게 최적화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여기서 조금 더 나아간다면, 아마존의 추천기술과 같이 미리 예측한 개인의 취향이나 의도에 맞추어 정보가 선제적으로 전달되고, 행동을 유도하게 될지도 모른다. 미래의 웹 기술은 이와 같이 기존의 콘텐츠들이 중심이 되어서 수동적으로 사람들이 찾아오기를 기다리는 것의 한계를 벗어나서, 우리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서고,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실시간 웹이 또 하나의 대세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글: 하이컨셉 & 하이터치
원문: http://health20.kr/3251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