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CEO가 챙겨야 할 IP포트폴리오

출처 GettyImages

[인벤트업 칼럼] 연구에 따르면 지식재산권을 포함한 무형자산은 미국 S&P 500지수에 포함된 기업 가치 중 80% 가량을 차지할 만큼 기업 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미국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기술특례상장, 기술신용평가 등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 신용이나 가치를 평가하려는 시도가 확대되고 있다.

제조업이 여전히 생활 기여도가 크지만 블록체인, AI, 딥러닝, VR/AR, IoT, 헬스케어, 바이오 등 소위 혁신기술의 경연장이 되는 기술 분야일수록 기업이 보유한 무형자산을 높이 평가하며 또한 무형자산으로 인해 기업의 전체 가치를 높게 인정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무형자산 중에서도 특허가 중요하게 평가되는 혁신적인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업일수록 엔지니어 위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기업 중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나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고 지식재산권에 관한 모든 결정을 해당 연구소 책임자에게 전적으로 맡기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연구 책임자에게 모든 결정을 맡기는 기업은 기술적인 면에 치중한 나머지 기술의 시장가치와 기술로부터 창출될 수 있는 상업적 이익을 배제하는 경우가 많고 회사의 상업적 이익에 거의 쓸모가 없는 데로 불구하고 멋진 기술 아이디어로 가득 찬 지식재산권 포트폴리오를 매우 자랑스러워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혁신 기술기업이라도 엔지니어와 변리사에게 지식재산권에 관한 모든 결정권을 넘기는 것은 큰 실수일 수 있다. 회사의 전략적 영역을 책임지는 CEO는 엔지니어나 변리사와 함께 회사 내의 지속적인 혁신을 포착하고 그 혁신이 전략적 영역에서 가치가 있는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살펴봐야 할 의무가 있다.

전략적 측면에서 기업의 CEO로서 챙겨야 할 지식재산권 포트폴리오의 체크포인트를 3가지로 요약해 본다.

IP포트폴리오가 사업과 정렬되어 있는가?=사업은 성취해야할 사업목표를 갖고 있다. 기업에 투입되는 역량과 자원은 사업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투입된다. IP포트폴리오를 확보하려는 노력도 사업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투입되는 자원에 해당한다.

스타트업 CEO는 조급증에 빠지기 쉽다. 빨리 성과물을 내놓고 싶은 성급한 마음에 사업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적용 가능성이 낮은 특허를 무리하게 출원하거나 대외적인 지원 사업이나 R&D과제에 선정되기 위해 필요하지도 않은 특허를 외부에서 매입하는 경우가 있다. 명확한 용도가 없는 상황에서 수집품 모으듯이 특허를 모으는 것만큼 어리석은 짓은 없다.

기업이 조준하고 있는 사업목표의 가늠좌 역할을 하는 것이 IP포트폴리오다. 따라서 CEO는 IP포트폴리오가 기업의 사업목표와 정렬되어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타깃에서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영점 재조정이 필요하다.

사업목표와 동떨어진 멋진 기술 아이디어에 집중하다 IP 포트폴리오가 더 이상 사업 목표와 부합하지 않거나 심지어 IP에 투입되는 과도한 재정적 자원으로 인해 기업운영에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전문가와 함께 IP포트폴리오를 리모델링하는 작업에 착수해야 한다.

IP포트폴리오가 균형감 있게 구성되어 있는가?=IP포트폴리오는 하나의 권리로 이뤄져 있지 않다.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영업비밀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다. 사업 종류에 따라 기술이 중요한 사업과, 브랜드와 타깃팅이 중요한 사업, 그리고 제품의 디자인이 중요한 사업이 있다. 따라서 사업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에 우선적으로 집중적인 권리를 확보해야 한다.

예를 들면 ‘AI를 이용한 챗봇 서비스’는 브랜드와 디자인보다는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답변을 내놓을 수 있는 기술 확보가 중요한 사업이다. 따라서 IP포트폴리오의 구성도 특허를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 반면 기술적 요소보다 소비자에 대한 브랜딩 전략이 중요한 여행업, 숙박업, 외식업과 같은 분야는 통상적으로 브랜드에 대한 상표권이 중심이 되어야 하고 이모티콘, 귀금속 액세서리 같은 분야에서는 디자인권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사업 핵심 요소에 우선적으로 집중적인 권리를 확보하되 나머지 권리를 핵심 요소를 부각하는 요소로 사용하면 더욱 좋다. 이런 방법론은 이미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단 주객이 혼동되면 안 된다).

다이슨이나 발뮤다 같은 기업은 제품의 기술적 성능이 좋기로 유명하기도 하지만 더불어 유려한 디자인은 제품의 성능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제품 디자인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 기술을 부각시키고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비슷한 예로 대전역에서 만날 수 있는 성심당의 ‘특허 받은 튀김소보로’를 들 수 있다. 이 사업은 누가 봐도 브랜드, 즉 상표권 확보가 가장 중요한 사업이다. 하지만 빵에도 특허가 적용됐다는 점을 강조해 성심당이라는 브랜드를 더욱 가치 있게 만들고 있는 예다.

IP 포트폴리오가 투자자를 설득할 수 있는가?=미국 투자자 중 67%가 스타트업 지식재산을 투자 결정의 중요한 요인으로 선택했다는 통계가 있다. 제품과 서비스에 의한 매출이 미미하고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 부족한 스타트업의 CEO가 투자자에게 기업의 미래 비전과 가치를 입증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는 지식재산권이다.

스타트업 CEO에게 투자유치는 매우 힘들고 고된 과정이다. IP포트폴리오는 거친 투자유치 과정에서 윤활유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타트업 CEO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IP포트폴리오가 투자자에게 설득력이 있는지 스스로 자문해 봐야 한다.

수행하고 있는 비즈니스 분야에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IP포트폴리오가 적절히 작동해 독점적인 사업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경쟁기업에게 장애물인지 여부는 스타트업의 성장가능성과 이익에 직결되는 요소다.

모든 투자는 투자회수라는 공통 목표를 전제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스타트업에 대한 주요 투자회수 창구로 활용되는 기술특례상장 제도만 살펴보더라도 지식재산권은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에서 핵심적인 평가 항목 중 하나다.

시리즈별 투자자에게 투자회수 가능성을 높이는 IP포트폴리오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은 꽤 매력적이다. 견고하게 확장되는 IP포트폴리오는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데 가속도를 붙인다. 스타트업 CEO라면 기업의 IP포트폴리오가 투자자를 설득시킬 수 있는지 나아가 투자자에게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지 항상 고민해야 한다.

스타트업이라도 CEO가 모든 영역에서 세부적인 내용을 모두 챙겨보는 것은 무리일 수 있다. 하지만 위 3가지 체크포인트는 사업의 전략적 영역을 총괄하는 CEO라면 충분히 고민하고 답을 구할 수 있는 사항이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