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제2본사 뉴욕행 ‘5가지 주목할 점’

아마존 제2본사(HQ2)가 뉴욕에 들어선다. 이 소식과 관련해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부분을 공유하자면 첫 번째는 아마존 HQ2의 뉴욕행은 예상되던 흐름이었다는 것이다. 표면적으로는 인재확보라는 타이틀을 강조하고 있지만 아마존의 최대 수요처와 공급처도 모두 뉴욕을 중심으로 한 동부지역인 관계로 아마존이 이쪽으로 자리하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런 흐름이다.

또 CEO 제프 베조스는 동부에서 대학을 마치고 월가에서 생활했던 이력이 있는 관계로 뉴욕은 매우 익숙한 지역이다. 그리고 아마존은 이미 시가총액 2위에 자리한 기업인 만큼 자본시장 관계 흐름도 고려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놀라운 결정이 아니라 자연스런 결정이라고 봐도 될 듯하다.

두 번째는 아마존보다도 뉴욕시와 뉴욕주의 전략적 혁신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뉴욕은 이미 미국 내에서도 실리콘밸리와 견줄 수 있는 혁신 클러스터로 자리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그 기세가 단연 세계 최고 수준이다. 스타트업에게 법인세 면세 10년, 부동산 보유세 대폭 감축, 세입자 부당 임대차 계약에 대한 소송비 지원 등에 더해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대학 교육 과정까지 무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까지 제공하고 있다. 다시 말해 사회복지 예산지출을 대폭 확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나 시의 재정 상태는 더 좋아지고 있다. 바로 그 접근법의 근저에는 행정혁신과 정부혁신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아마존 HQ2의 유치에도 이 부분이 잘 녹아 들어가 있다. 시정부와 주정부 차원에서 잘 훈련된(well-trained) 인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그 기반을 만들어 아마존이 부담해야 할 교육훈련 부담을 줄여주겠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투명한 과정을 통한 행정이다. 뉴욕시에서도 아마존 HQ2의 유치에 대해 긍정적 시각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비판적 시각이 더욱 많을 수도 있다. 이런 다양한 이해관계가 공존하는 일일수록 투명한 과정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뉴욕시와 아마존과의 양해각서 전문(총 31페이지)은 완전히 공개가 되어 있다. 양측이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전개해야 할지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특정 기업이나 산업과 관련한 제반 합의 사항의 세부 내용은 대부분 비공개로 관리한다. 여러 이면적인 이슈가 내포될 수밖에 없고 항상 비리 이슈가 발생하면서 문제가 된다. 뉴욕시나 뉴욕주의 경우 공공 조달 영역의 모든 사항은 투명하게 항상 공개하고 예측 가능한 활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심지어 볼트나 너트의 개별 단가까지도 모두 공개된다. 각종 심사 및 평가의 경우 해당 심사평가위원이 사전에 공개되고 탈락한 경우 이에 대한 평가결과는 상세한 보고서로 만들어져 참가자에게 반드시 피드백된다.

네 번째. 제프 베조스는 영리했다는 것이다. 아마존 HQ2 프로젝트를 띄워 놓고 아마존은 인구통계학적 변화 정보나 지역개발 정보, 역내 산업 정보 등 미국 주요 지역에 대한 상세한 고급 정보를 대부분 취할 수 있었다. 미국 내수시장에 대한 상세정보는 이제 아마존이 그 어떤 리서치 회사나 연방 정부조직보다 더 자세하게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선정되지 못한 대부분 주요 도시나 지역에서 ‘사기행각’이라 말하는 것도 무리한 표현은 아니다.

다섯 번째는 플랫폼 경제에서 생태계 경제로의 전환이다. 최근 학술대회 등을 통해 플랫폼 경제가 이제 더 진화해 생태계 경제로 옮겨가고 있음을 강조한 바 있다. 그리고 그 사례로 구글(알파벳)을 들었다. 아마존의 HQ2에는 아마존 역시 앞으로 본격적인 생태계 경제의 접근법을 취하겠다는 전략적 의도가 담겨져 있다.

경제에서 생태계는 생태학에서와 같이 ‘생산-소비-분해-무기환경’ 구성요소로 구성되며 ‘유입-성장-수확/정리-재유입’의 순환흐름을 지닌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소비 기능과 무기 환경 내용이다.

개별 기업의 비즈니스 생태계에서 소비 기능은 혁신적 기술이나 상품을 해당 기업과 비즈니스에서 직접 매입·구매·인수하는 기능이 유효하게 작동함을 의미한다. 좀더 쉽게 표현하면 ‘혁신적 기술/상품을 개발 했을 때 또는 생산했을 때 누구에게 가장 먼저 달려갈 것인가’에 해당하는 사항이다. 당연히 가치평가를 잘 해줄 수 있고 또 전략적 확장성이 담보될 수 있는 곳이 가장 좋은 협력 대상이 된다. 소비 기능을 잘 소화 한다는 것은 혁신가에게 가장 좋은 거래 대상이 됨을 의미한다.

또 개별 기업의 비즈니스 생태계에서 무기 환경은 제도와 문화를 의미한다. 최근 네이버로부터 투자를 받거나 피인수 되는 기업에게서 공통적으로 표현되는 내용이 “존중 받는 경험을 했다”는 것이다. 이런 내용이 회자되는 배경에는 네이버가 그만큼 제도와 문화 부문을 개선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생태계 경제에서 갑-을 관계적 사고와 문화는 유효할 수 없다. 정부의 정책 활동과 기업의 비즈니스 활동에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