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히 새로운 세계가 온다 The Next New World is coming

IMG_7197

오늘 뉴욕타임즈 컬럼니스트 토머스 프리드먼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주최한 ‘뉴욕타임즈 글로벌 포럼’에 참석했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칼럼니스트 중 한명이자 글로벌 오피니언 리더의 리더(Leader of Global Opinion Leader)인 프리드먼이 보는 새로운 세계는 어떤 모습인지 궁금했다. 나는 그의 팬이기도 하다. 오늘 컨퍼런스는 2005년 이후 저술된 ‘세계는 평평하다’와 ‘뜨겁고 평평하고 붐비는 세계’ 이후 어떻게 세계관이 변했는지 또는 더 심화됐는지 알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

결과적으로 지난 1년간 미국 스탠포드 연수에서 배우고 느낀 ‘새로운 세계’에 대한 나의 생각과 이론에 방점을 찍어주는 소중한 컨퍼런스였다.
그도 그럴 것이 토머스 프리드먼은 이미 내가 이미 블로그에 쓴 ‘역사상 가장 강력한 개인이 온다‘는 글과 맥락이 일치한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문샷 씽킹‘도 언급하는 등 내가 지난 1년간 본 세계가 프리드먼이 본 세계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됐다.

나는 21세기의 첫 해는 2001년이 아니라 2007년이라고 생각한다. 2007년 애플 아이폰의 탄생이 20세기와 21세기를 나누는 중요한 이벤트였다고 확신하고 있다. 훗날 역사가들은 21세기에 대해 정의를 내릴때 B.I. 시대(Before iphone)와 A.I. 시대(After iphone)로 구분할 것이다. 더구나 지금은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t)의 시대이기도 하다.

2007년 아이폰을 시작으로 한 스마트폰의 등장은 모바일과 소셜과 데이터의 대융합(Great Convergence of Mobile, Social and Data)을 가져왔고 이 융합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 영역에 걸친 변화의 핵심 인프라스트럭쳐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구텐베르크가 인쇄술을 발명할 당시 본인은 물론 동시대를 살았던 대부분의 사람들이 앞으로 불어올 혁명이 무엇인지, 어떤 변화를 불어올 것인지 전혀 알지 못했고 추측하지도 못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은 모든 것을 바꾸는 ‘근원적 혁명의 도구’였다.

우리도 스티브 잡스가 아이폰을 내놓은 것이 앞으로 어떤 더 큰 변화를 불러일으킬지 아직 알지 못한다. 왜냐면 아직도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아이튠즈 및 앱스토어 등장과 애플리케이션의 대중화, 이에 다른 앱 경제학의 출현 등 아이폰과 스마트폰이 바꿔놓은 경제와 사회는 시작에 불과하다.

여전히 아이폰을 살 것인가 안드로이드폰을 구매할 것인가를 두고 갈등하고 있는 사이에 우리가 상상하지 못했던 더 큰 혁명적 변화가 오고 있다. 개인의 위치와 습관을 파악, 알아서 추천해주는 추천엔진 기반의 소프트웨어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는 영화속에서 보던 AI가 실제 등장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를 입고 빠르게 사물화되고 있으며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로 재정의되고 있다.

이것은 거대한 흐름이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서비스는 융합(Convergence) 현상을 넘어섰다. 지금은 완전히 섞여서 다른 형태로 변하고 있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서비스는 영화 터미네이터에서 T1000이 상황에 맞게 경찰로 변하다가 여성으로 변하면서 형태를 바꿔가듯 ‘모핑(Morphing : 변형)’되고 있는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를 지향하고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가 되려 한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서비스의 형태로 보여진다. 산업은 재정의되어야 한다.

우리가 알던 자동차 산업, 전자 산업, 통신 산업, 의류 산업, 조선 산업 등 Industry 자체가 크게 바뀔 것이다.
산업 뿐만 아니라 국가, 정부, 조직 등도 재정의되야 한다.

심지어 개인도 재정의해야 한다. 지금은 지금까지 알고 있던 세계관을 근본에서부터 다시 생각해보고 재정의해야 하는 시기다.

어제 했던 대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은 현재는 물론 미래에 의미없는 일이 될 것이다. 더이상 ‘안전한’ 세계는 없다. 회사도, 조직도, 개인도 파괴되고 혁신된다(Being Disrupt)된다.

디지털 카메라의 등장에 따른 코닥필름의 몰락은 비즈니스스쿨은 물론 상식책에도 나올만큼 ‘적응에 실패’한 사례로 회자가 되고 있다. 인터넷에 등장에 따른 PC통신 천리안과 AOL의 재빠른 몰락도 학습 사례다.
이제 이런 사례는 교과서에 나오는 단어가 아니다. 코닥의 직원은 해고가 됐고 다른 직업을 찾아야 했다.

하지만 이제는 회사나 조직이 아니라 개인도 ‘코닥’이 될 것이다(Being Kodaked). 옛 시대적 사고와 조직에 물들어 있어 혁신하지 못하면 아이폰과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무장한 개인에 의해 코닥된다.

오늘 컨퍼런스는 ‘코닥되는’ 현상과 그 이유 그리고 어떻게 이에 적응할 것인가에 대한 컨퍼런스였다.

오전 9시30분부터 오후 6시30분까지 세션이 이어졌는데 일단 토머스 프리드먼의 기조연설을 현장에서 느낌 그대로 정리한 것을 공개한다.

아직 정리중인데 전체를 현장에서 적은 ‘현장 노트’는 나의 개인 이메일(jackay21c@gmail.com)로 이메일을 알려주면 공유할 예정이다(*영어와 한글이 섞여 있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아 블로그 등에 공개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그럼에도 이메일로 원하는 분들만 공유한다는 뜻입니다)

 

IMG_7190

 

현장 노트

-21세기 가장 세계화와 IT 혁명의 융합이 가장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일 것이다. 더 많은 IT혁명이 있을 수록 세계화가 진행되고 세계화가 진행될수록 IT혁명이 온다.

-정치적으로 이 분야에 대해 얘기하지 않는다. 아무도 타험하지 않는다. 나는 이 문제에 대해 토론하고 싶다. 이렇게 초연결사회에서 얼마나 많은 것을 바꾸는지.
911 이후에 .. 2004년에 타임디스커버리 채널에. 2004년에 다음 다큐멘터리. 왜 모든 사람들이 미국인을 싫어하는지에 대해 했다. 여기서 시작됐다. 젊은 사람들을 초대해서 왜 미국인들을 싫어하는지 알고 싶었다. 여기에서 많은 것이 시작됐다. 내가 911을 커버할때 기술과 세계화에 대해 특별히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 것이 근본적인 변화라는 것을 당시는 인식하지 못했다.

-글로벌 경제는 완전히 평준화됐다(Being leveled). 미국인은 준비하지 못했다. 인도의 기업가가 글로벌 경제장이 완전 바뀌었다고 평가했다. the world is flat이라고 했다. 당시에 두가지 핵심 화두가 있었다. what has changed? 많은 세기동안 act globally 해왔다. act globally. 콜럼버스가 새 세계를 발젼한 이후다. fundamentally new다. act globally as individual. 이 것이 정말 새로운 현상이다. 이 것은 비즈니스, 전쟁, 교육 등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PC와 인터넷, 디지털 협업과 검색의 부상은 우리가 아는 평평한 세계다(Convergence of PC, internet, digital collaboration, search is what “flattened” the world)

-첫째는 PC가 그렇게 만들었다. 개인이 스스로 콘텐츠를 디지털 형태로 만들기 시작했다. PC가 그렇게 만들었다. 월드 뮤직, 데이터, 사진, 엑셀 등을 만들었다. 이 후에 인터넷이 나와서 이 콘텐츠를 무료로 가상을 통해 전달할 수 있게 됐다. 소프트웨어 HTML 등이 디지털 콘텐츠가 다른 사람들이 협업하기 시작했다. 이후 구글 등이 나와서 융합되기 시작했다. 이 융합이 what connected flattened world. less money more places.

-2004년에 세계는 평평하다가 나왔다. 이후에 that used to be us를 썼다. 7년전에 세계는 평평하다를 쓸때는 페이스북이 없었다. 페이스북은 없었고 링트인도 없었고 트위터도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이 모든 변화가 내가 책을 쓴 이후에 벌어졌다.

-새 새상이 왔다. 이제는 커넥티드에서 초연결사회로 왔다. 힘을 갖춘, 개인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개인과 함께 연결 사회에서 초연결사회로 진입했다.

-들고다니는 컴퓨터 누구나 가지고 있다. 클라우드에서 옮긴다. 모두가 접근할 수 있다. 가장 강력한 컴퓨팅 툴이다. 초고속인터넷이 이 것들을 실시간으로 옮긴다. 인터넷 of thing가 부상하고. 모든 엔진이 연결되고 있다. 이제는 2.0 internet of all things. 이제는 모든 사람들과 협업할 수 있게 됐다. 검색의 부상과 스토리지 무료화가 스토어 데이터할 수 있는 것이 빅데이터 현상을 나타나게 했다.
정말 큰 일이 벌어지고 있다. 커넥티드 세계가 초연결사회로 옮겨갔다.

-emergence of super empower individuals가 나타나고 있다. 이 것들이 개인들에게 엄청난 파워를 주고 있다. 하이퍼 연결 사회. 데이터와 함께 개인은 점차 슈퍼 모티베이트 되고 있다(With Big data, individuals are super motivated)

-내가 허츠를 통해 빌릴때 디지털 보이스를 줬다. 나는 never got human. 정말 복잡한 생각이 들었다. AI 시스템이 모든 것을 예측하고 있다. 3주전에 예맨에 갔을때 런던에 다시 갔다. passport 라인에 갔다.

-나는 초연결 사회에 대해 확신하고 있다. 디트로이트와 다마스쿠스를 연결하고 있다. 시리안들은 그들의 혁명에 대해 얘기하지 않고 샴 뉴스 네트워크 유튜브를 만들었다. 알자지라 보다 더 정확히 만들고 있다. 시리안 레퓨지 터키에. 나는 인식했다. 알자지라가 아니라 거기에 TV가 있었다. 그들이 스스로 위성 네트워크 만들고 영상을 만들기 시작했다.
힌두스탄 타임즈가 3G 모바일 네트워크를 에버레스트에서 만든다. 하이스피드 인터넷을 전화로 한다. 초연결 사회다.

-잠바주스는 이제는 소프트웨어다. 그들은 얼만하 많은 주스를 만들고 어떻게 누가 얼마나 좋은지 알 수 있다. 어떤 직원이 어떤 것 만드는지도 알 수 있다. 이 것도 역시 초연결사회에서 나타난 현상이다. 이것은 무엇을뜻하는가? 직장과 교육에서도.
우리가 지금 큰 수학 교실에 있다면 큰 곡선이 이제 막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whole grade curb just rose). above average geneos. 노동력, 보통사람의 시대는 공식적으로 끝났다(average is officially over). 화이트 칼라와 블루 칼라가 동시에 성장시키고 있다. 더이상 보통은 없다.

-나는 60, 70년대에 .. 70밀리언 경쟁자가 있다. more than that이다. 내 장모님은 중국에 가보지도 못했다. 시카고에 있지만. 뉴욕타임즈를 이제 중국어로 번역하기 시작했다. 내 칼럼도 주 2회에 중국어로 번역된다. 그는 중국에 대해 잘 모른다. 완전히 새로운 세계다.

-모든 사람들이 완전 새로운 세계에 대해 진입했다. who is non 루틴. 과학자 예술가 엔진어 컴퓨터 프로그래머 저널리스티 non 루틴이다. 이제는 루티나이즈 되지 않는다. 루틴 월드는 being 크러시드 됐다. non 루인월드에서 we wanna be non routine 워커. 다시 부상하기 시작했다. 이 것이 다시 부상하기 시작했다. non 루틴.

-오늘의 세계는 … non 루틴. 창조적인 모든 사람들의 extra는 다르다. 우리는 모두 스티브 잡스가 되기 원한다. value creative. 모든 스킬 투두. 많은 사람들이 소프트웨어와 머신들이 움직인다. more people. 초연결사회는 모두를 그들의 게임으로 안내하고 있다. non 루틴이 -미국의 직업은 3가지 방향으로 견인돼 왔다. 더 많은 기능을 필요로하고(up more skills) 더 많은 소프트웨어와 로보틱스가 출연하고 있으며(out more software/robots) 고립된 현상은 줄어들고 있다(down made obsolete). 미국 중산층은 고임금을 받는 그저그런 기술을 가진 노동자들이다. 하지만 이제는 바뀌고 있다. 더이상 평범한 ‘직업’은 없다. 지금은 ‘고기능 직업’의 시대다. 교육이 노동력이 바뀌고 있다. 미국 공장들이 바뀌고 있다. 많은 젊은 친구들이 학교 그만둔다. 많은 사람들이 중산층을 혁신적인 사람들로 옮겨야 한다.

-우리의 직업이 바뀌고 있다. 직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정의가 필요하고 재조직이 필요하다(keep that job. reinvent reengineer) 우리 아이들은 더이상 ‘대학 졸업’을 위해 항상 준비할 필요는 없다. 이제는 혁신을 위해 항상 준비해야할 때다(Kids don’t need to graduate being ‘job’ ready…but ‘innovation’ ready”)

-이 같은 초연결 사회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첫째는 이민자처럼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이민자들이 중요하다. 더이상 유산은 없다. 스탠포드 버클리. 에너제틱. 창조적으로 새로운 이민자들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다. 그들은 stay hungry다. 초연결사회에서는 누구나 이민자다.
두번째는 스스로 예술가처럼 행동해야 한다. 자신이 만든 작품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거기에 이름을 세겨야 한다.
세번째는 항상 베타가 되야한다(being beta)다. 75% 그들은 실리콘밸리 F the world is finished. 이제 더이상 ‘끝’이란 없다. 항상 beta 정신으로 살아야 한다. 창업가들은 끝이 없다. 그들의 마인드속에는 항상 베타정신이 있다.
네번째는 초연결사회로 오면서 우리를 쉬프트하고 있다. define 컨트리뷰션. 믿을 수 없이 싼 소프트웨어들이 역사상 가장.

-큰 다비이드. 디지털 디바이드보다 큰 디바이드가 온다. 그것은 ‘동기격차(motivational divided)다.

-마지막으로 모든 일을 하든 창업가가 되야 한다. 뉴 비즈니스 새로운 기회를 찾아서 해야 한다. being 기업가가 되야 한다.

-우리는 expand safenet을 해야 한다. 사람들을 건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많은 사람들이. how you invest yourself. 어떻게 401k에 투자할 것인가? 서브프라임 이후 다른 효과는 리스크 테이킹하지 않는다. risk taking은 이렇게 초연결사회에서는. 우리는 4명이 필요하다. 우리는 잡을 만드는 기업가가 필요하다. 스타트업 줄어들고 있다. 잘 봐야 한다.

-초연결사회에서 미국에서 hot wired되고 있다. 미국에 1960년대에 하나의 위대한 moon shot을 쐈다. 미국이 플랫폼 되기 원한다. 그들이 스스로 문샷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비즈니스 포메이션. best 헬스케어. 스마트 인프라스트럭쳐 설립해야 한다. 나의 문샷을 쏘는. non 루틴의 세계가 오고 있다. 완전히 새로운 다음 세계가 오고 있다.

 

IMG_7202

 

토머스 프리드먼 행사 참여 후기

프리드먼은 나의 롤 모델이자 워너비 모델이었다. 프리드먼 처럼 글을 쓰는 것이 기자로써 오랫동안 나의 꿈이었다.

프리드먼처럼 글을 쓴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세상과 사물을 보는 통찰력이 있고 시각이 세계를 향해 있으며 언제나 현장에서 글을 쓴다. 책을 읽고 감동을 받으면 직접 저자와 대화를 하고 그것을 통해 또 다른 영감을 받는다. 잘만들어진 노래에는 언제나 운율이 있듯 그의 글에도 운율이 있다.

프리드먼의 ‘렉서스와 올리브나무’를 읽는 순간부터 그의 글실력과 세계를 보는 시각에 완전히 매료돼 뉴욕타임즈 칼럼을 항상 찾아 읽었고 2005년 ‘세계는 평평하다(The World is Flat)’은 한국에 번역서가 나오기 전에 완독하기도 했다. 2005년에는 프리드먼에게 직접 이메일을 보내고 그와 이메일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당시 나는 기자 4년차 였는데 프리드먼이 나의 이메일에 답을 해줄 것이라 기대하지 않았다. 하지만 수차례 이메일을 보내 귀찮았던지(^^;;) 프리드먼은 이메일을 보내줬고 그것을 토대로 인터뷰 기사를 작성하기도 했다. 당시 토머스 프리드먼은 한국에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었다. 이후에 ‘뜨겁고 평평하고 붐비는 세계’도 나오자마자 구해서 읽었던 기억이 난다. 그가 한국에 왔을때 기자회견장에 찾아가서 책에 사인을 받기도 했다.

지난 4월 뉴욕타임즈를 보는데 광고하나를 발견했다. 그가 자신의 이름을 건 포럼을 만들었는데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한다고 한 것이다. 이름도 거창했다. 완전히 다른 새로운 세상. 그가 어떤 인사이트를 줄지 궁금했다. 하지만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니 ‘유료’ 행사인데다 참가자도 제한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원서를 받겠다는 것이다. 포럼에 참가하기 위해 수백불에 달하는 비용을 내야 하고 더구나 지원서까지 낸다는 것은 어불성설일 수 있다.

하지만 나는 당연히 가야한다고 생각했다. 토머스 프리드먼의 인사이트는 절대 놓칠 수 없다는 생각이었다. 현장에서 봐야 했다. 그리고 지원서를 그날 보냈고 참가비를 깎아달라는 내용도 같이 넣었다. 몇주 후 포럼 측에서 참가비를 절반 할인해서 참석할 수 있다고 이메일이 왔고 당장 결제했다. 그래도 250달러였다.
그리고 오늘이 왔다. 오늘은 미국에 체류한 1년 중 가장 흥미로운 순간 중 한 장면이기도 했다.

 

글 : 손재권
출처 : http://bit.ly/11V8INz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