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세대 언어는 이모티콘.. 북미시장 노린다”

“한국에 돌아와 외국 친구들과 메시지를 할 때였다. 페이스북 메시지를 이용했는데, 한국과는 다르게 이모티콘이 별로 없더라. 궁금하고 의아했다”
해외에서 유학생활을 한 박기람 대표와 조준용 공동대표는 비슷한 궁금증을 안고 있었다. 메신저를 통해 해외 친구들과 대화하면 할수록 다른 점이 눈에 띄었다. 열 마디 말보다 하나의 이모티콘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한국 또래친구들과는 달리 외국 친구들이 쓰는 이모티콘의 수는 한정돼 있었다.
박 대표는 “한국은 이모티콘 시장이 비교적 빨리 나온 시장 중 하나다. 이모티콘이 등장하고 커지기 시작한 지가 넉넉잡아 6-8년. 미국은 2-3년”이라며 “우리나라는 성숙기에 접어들었지만 미국은 이제 막 성장하는 시장이다. 5년간 최소 8배 정도는 클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성격, 취향, 전공 모두 달랐지만 두 대표는 ‘생각하면 바로 실행한다’는 점에서 잘 맞았다. 고등학교 시절 기숙사에서 한 방을 쓰던 두 대표는 이번에도 함께 하기로 뜻을 모았다. 글로벌 이모티콘 플랫폼 ‘스티팝’이다.
“이모티콘은 텍스트가 담을 수 없는 감정을 실어보낼 수 있다. 다음 세대 언어라고 봤다” 스티팝은 작가들이 쉽고 빠르고 이모티콘을 등록하고 이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이모티콘을 찾을 수 있는 이모티폰 플랫폼이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아이폰 이용자는 아이메시지에서,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지보드(Gboard)를 통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메시지에서 스티팝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다. 작가들이 포트폴리오를 공개하고 팬들고 소통할 수 있는 SNS 기능도 추가해 관심있는 작가의 작품 근황을 살펴볼 수도 있다.
두 대표는 이모티콘 시장 진입에 대해 시기적으로 잘 맞아떨어졌다고 봤다. 애플이 iOS10부터 아이메시지에서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열어두면서 아이메시지에서도 이모티콘 활용이 가능했다. 조 대표는 “미국 1020 사이 아이메시지와 스냅챗 이용빈도가 높다. 아이폰이 이모티콘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열어두면서 이모티콘 시장도 본격적으로 열릴 것으로 봤다”고 설명했다. 구글이 출시한 안드로이드용 키보드인 지보드의 전 세계 사용자는 약 10억 명, 올해 초 구글이 지보드에 새로운 언어를 추가하겠다고 발표하며 사용자는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도 이모티콘 사용자이면서 또래가 사용하는 새로운 언어, ‘이모티콘 감성’을 이해한다는 점에서도 유리했다. 박 대표는 “운도 좋았다. 타이밍은 정확했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기만 하면 됐다”고 전했다.
이모티콘을 모으는 것부터 시작했다. 초창기에는 작가들에게 일일이 이메일을 보냈다. 조 대표는 “보낸다고 답을 준다는 보장은 없었다.  답장은 커녕 메일을 확인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래도 일일이 이메일 주소를 모으고 스티팝의 구상을 전했다”고 말했다. 정성이 통했을까. 한 명씩 알아봐주는 이가 생기면서 먼저 연락이 오기도 했다. 현재 코코몽, 블루라쿤, 젤리칵터스 등 국내 인기 작가의 이모티콘은 물론 미국과 말레이시아, 크로아티아, 프랑스 등 전 세계 300여 명 작가의 8,000여개 이모티콘을 스티팝에서 만날 수 있다.
“처음부터 글로벌 시장을 바라봤다” 스티팝이 정조준하는 시장은 북미시장이다. 주 타겟은 뉴욕에 사는 1020 미국 여성이다. 조 대표는 “자체 유입률 측정 결과 미국 4개 주로 후보군이 좁혀졌다. 그 중 뉴욕 시장은 투입 비용 대비 전환율이 높아 가장 먼저 공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실 사용층에게 피드백을 빠르게 받을 수 있다는 것도 강점이다. 박 대표는 “해외 시장에 진출할 때 시장반응이 생각과는 달라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하지만 스티팝은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다. 해외 친구들이 예비 고객이자 시장 반응의 척도”라고 말했다.
이모티콘을 소재로 잡고 시작했지만 시장조사를 할 수록 시장에 내재된 문제점도 눈에 들어왔다. 작가가 아예 등록을 못하거나 등록을 한다 해도 쏟아지는 이모티콘 속에서 주목받지 못하면 빠른 시일내로 뒤쳐졌다. 스티팝은 작품을 통해 꾸준히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작가들이 이용자를 더 많은 이용자를 만날 수 있도록 해외 진출 창구를 여는 것, 나아가 이모티콘 제 2창작물을 통해 수익 창구를 확대하는 방안이다. 이를테면 색채 컬러링처럼 이모티콘에 원하는 색깔을 덧입히고 이를 다시 이모티콘으로 활용하는 식이다.
조 대표는 “작가의 작품을 통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을 확장하려고 한다. 제 2창작물을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콘텐츠 자체가 늘어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인기 만화, 게임 캐릭터가 커뮤니티를 통해 재창조되고 팬덤을 형성하듯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두는 것이다. “창작물이 기존 상태로만 보존되어야 가치있다는 관점에서 재창조되면서 가치를 높이는 쪽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관점이다. 박 대표는 “합법적으로 열린 공간에서 캐릭터 작품을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주고 여기에서 나오는 이익을 분배해주는 방식”이라고 덧부였다.
테크크런치에 탐가한 조준용, 박기람 대표
올해 9월 참가한 테크크런치에서 가능성을 확인했다. 게임, 이모티콘 팬 뿐 아니라 아이들, 특히 자녀를 둔 부모들이 스티팝에 호응했다. 조 대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도 부모 세대도 그렇고 이미 스마트폰을 경험한 세대가 부모가 된다. 모바일에 대한 거부감이 적다. 어렸을 때는 스티커, 딱지를 모은 것처럼 시대가 변한 오늘날은 휴대폰에서 이모티콘을 표현하고 저장하는 쪽으로 변하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장기적으로 보면 좋아하는 캐릭터,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캐릭터 각가의 팬이 직접 색칠하고 자신이 만든 이모티콘으로 소통하는 창구를 계획하고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게임회사와도 제휴를 논의 중이다. 조 대표는 “모바일 게임 캐릭터는 커뮤니티에서 팬아트를 공유할만큼 팬층이 두텁다. 팬들이 스티팝을 통해 캐릭터, 더 많은 팬들과 만날 수 있을 것”이라며 “캐릭터 관련 산업으로도 범주를 넓힐 예정”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오프라인 스티커 제작, 아이들을 위한 스티팝 포 키즈도 구상하고 있다. 박 대표는 “뉴욕을 중심으로 스티팝을 선보이고 10만 이상 사용자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유명 캐릭터와 개성있는 인디 작가의 작품이 모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게임, 캐릭터 분야와도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 한해 고려대 기술지주와 스파크랩스 프리배치에서 투자를 유치하며 2018년 목표를 어느정도 달성했다는 스티팝, 올해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언제였을까. 조 대표는 올해 9월 참가한 테크크런치를 떠올렸다. 그는 “현지에 직접 아이템을 선보이고 사용자에게 피드백 받았을 당시 사람들이 좋아했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며 그 순간이 가장 뿌듯했다고 말했다. 테크크런치를 준비하면서 스티팝과 함께하는 작가들의 응원도 받았다. 두 대표는 “우리가 정말 누군가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구나를 깨달았던 순간이었다”고 기억했다.
스티팝이 꿈꾸는 세상을 묻자 두 대표는 성격만큼이나 닮은듯 다른 대답을내놨다. 조 대표는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로 시간을 보내고 캐릭터로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재미를 선보이고 싶다”며 “이모티콘이 소통의 매개체가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박 대표의 답은 이렇다. “스티팝을 통해 사람들도 창작하는 사람이 되면 좋겠다. 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치나 즐거움, 행복감을 느끼면 좋겠다. 우리가 시대가 흘러가면서 좀 더 창작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이 생기거나 상황이 힘들어질 수도 있지 않나. 스티팝을 통해 좀 더 가까이, 창작의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싶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