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과 트위터, 그리고 인공지능

 ◆ 소셜 네트워크가 발전하면서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발전하게 될까?

유명한 벤처투자자인 DST의 유리 밀너는 페이스북의 미래가 인공지능이라고 하였다. 그의 말을 그대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


제 생각에 10년 내에 당신은 소셜 네트워크에 질문을 던지고, 답변을 듣게 될텐데 그것이 컴퓨터가 한 답변인지 사람이 한 것인지 알지 못하는 수준이 될 것입니다. 반대로 질문을 받았을 때에도, 그 질문이 사람이 한 것인지 인공지능이 한 것인지 잘 모르게 될 것입니다. 이런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할 때마다 컴퓨터가 알고리즘을 더욱 정교하게 만드는데 도움이 되겠지요.

 굉장히 도전적으로 느껴지는 말이지만, 그럴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미 페이스북에는 Ultral Hal 이라는 앱이 있는데(스페이스 오디세이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 분명할 듯하다), 인공지능 채팅 인터페이스를 웹에 구현한 것이다. 이 앱은 Zabaware에서 만들었는데, 인공지능 분야에서 권위있는 상인 Loebner Prize를 수상하기도 하였다. Hal은 페이스북의 친구들과 채팅을 하면서 자신의 인공지능을 키워나간다. Zabaware에서는 이 앱의 상업적 버전을 판매하기도 하는데, 현재는 엔터테인먼트의 목적이나 어느 토픽이나 토론할 수 있으며, 개인 또는 사무실의 비서 역할을 하는 용도로 이용된다고 한다. 또한 얼마 전에는 인간의 목소리를 듣고, 감정상태를 알아챌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술이 발표되기도 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인공지능을 증진시키고 발전시키는데 더없이 훌륭한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수많은 언어들의 대화가 진행되며, 이런 글들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증진시키고 말을 배우도록 하는데 무척이나 소중한 자원들이 된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의 서비스가 더욱 많은 사람들을 연결하고, 더욱 다양한 언어들을 지원하며, 다양한 형태의 상황에서 이용되면 이용될수록 인공지능 기술과 알고리즘은 정교하게 변할 것이다.


 이를 거대한 인간의 뇌에 적용한 것이 바로 시냅틱 웹(synaptic web)이라는 개념으로, 이와 관련해서는 과거 따로 블로그 포스트로 남긴 바 있으니 아래 링크를 참고하기 바라며, 간단하게 그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2010/09/29 – 우리의 뇌는 인터넷과 비슷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2009/11/16 – 차세대 웹의 새로운 키워드, 시냅틱 웹 



 ◆ 인간의 뇌는 어떻게 인지를 하고, 무엇인가를 기억할까?

http://www.flickr.com/photos/healingpath/3219715559/
Source :http://www.flickr.com/photos/healingpath/3219715559/
 과거에는 신경세포와 그 전달물질과 같은 보다 물질적인 부분에 많은 중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최근의 신경과학자들은 신경세포들 사이의 연결의 집합과 경로가 더 중요하다고 믿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신경세포들 사이의 연결을 시냅스(synapse)라고 하는데, 이러한 시냅스 연결은 뇌세포의 수와는 별개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끊어지기 하는 등 일생을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변화를 하게 된다.


 가만 살펴보면 웹도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다. 인터넷 상에 수많은 사이트 또는 하나의 영구적인 주소로 표현되는 객체(object)들이 있고, 이들은 각각의 중요성을 가지지만 서로 연결이 되면서 더욱 커다란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어떤 연결이 만들어지느냐에 따라서 새로운 경험이 생겨나게 되고, 새로운 가치가 만들어진다. 인터넷은 더 이상 문서와 컨텐츠를 전달하고 주고받는 수준의 데이터 웹이 아니라 더욱 다양한 인간의 활동영역을 커버하는 인간 중심의 소셜 웹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매쉬업 연결 및 서비스 들이 등장하면서 각각의 단위별 의미와 기능을 만들어 간다. 매쉬업도 거의 실시간으로 수만~수십만 가지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이들을 또한 쉽게 찾을 수 있게 되면서 우리 뇌가 특정한 경험이나 교육을 통해서 새로운 시냅스들이 만들어지고, 기존에 있었던 시냅스나 경로들이 강화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웹 역시 새로운 이벤트나 경험 등에 의해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연결이 강화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 페이스북과 트위터, 그리고 인공지능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는 소셜 그래프(social graph)라는 개념이 있다. 이는 개인과 관련된 이미지, 프로필, 링크나 그룹 등과 같은 소셜 객체(social object)를 연결하는 것으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앞으로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소셜 객체들의 변화 및 추가는 실시간 스트림의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다. 실시간으로 자신이 올리는 짧은 글이나 링크, 상태 업데이트나 위치정보, 모바일 브라우저를 통한 서비스 이용과 같은 정보, 신체에서 나오는 데이터 같은 것들은 실시간 정보 스트림의 형태를 띄면서 다양한 새로운 연결이나 경로 같은 것들을 만들어낼 수 있는 자극을 위한 전기에너지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런 다양한 노드들과 시냅스의 연결 속에서, 일정 수준을 넘는 자극이 주어지게 되면 신호를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것이 신경생리학에서 이야기하는 “firing” 현상이다. 그런데, 인간의 뇌도 그렇지만, 소셜 웹 환경에서도 이러한 “firing”이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곳에서 발생하게 되고 이들의 집단적인 패턴이 하나의 커다란 의미를 가지거나 현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우리가 명확히 알 수 없었던 내면의 작은 변화가 수많은 사람들이 비슷하게 느꼈던 에너지를 끌어내면서 하나의 커다란 “firing”을 일으킬 수도 있을 것이며, 자신도 모르게 가지고 있었던 숨겨진 잠재력을 끌어내는 계기로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소셜 웹의 기본적인 속성이 기존의 인공지능 연구와 만난다면 시냅틱 웹의 발전의 속도는 훨씬 빨라질 것이다. 어쩌면 스타크래프트에 나오는 저그 종족의 오버마인드가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통해 탄생할지도 모를 일이다. 집단지성이 힘을 발휘하는 것이 일종의 시스템화가 된다면 우리가 생각했던 것 이상의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일종의 인프라에 불과하지만, 미래에는 어떻게 될 것인가? 한 번쯤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 : 정지훈
출처 :
http://health20.kr/2044
참고자료 : Could Facebook Become the Basi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