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의 일이니 벌써 넉 달도 전의 일입니다. 그날은 제주도에서 열리는 학회에 가는 날이었습니다. 김포공항으로 가기 위해 집을 나섰는데, 갑자기 주머니 속의 휴대폰이 울리더군요. 이 아침에 누군가 싶어서 꺼내 봤더니, 교수님께서 전달해주신 메일이 와 있었습니다.
“미국 텍사스 주 오스틴에 있는 IBM 연구소에서 인턴을 모집함. 관심 있는 사람은 신청할 것.”
메일에는 연구소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이 담긴 PDF 문서 하나가 첨부되어 있었습니다. 제법 양이 많더군요. 비행기가 이륙하자마자 할 일이 없어진 저는 iPad를 꺼내 들고 문서를 읽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고개를 들었을 때, 비행기는 이미 제주공항에 내려앉은 뒤였습니다.
그리고 두 달이 지난 9월 8일 저녁, 저는 오스틴에 도착했습니다. 성적표와 이력서를 보내고, 합격 통지를 받고, 취업 비자 등 서류 수속을 밟고… 이런저런 일들을 하는 사이 여름은 후딱 지나가버렸습니다. 그리고 제게는 생전 생각지도 못한 생활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외국인 노동자가 된 거죠.
IBM, 무엇을 하고 있을까
IBM에 인턴을 간다고 하니까 몇몇 지인분들이 물으시더군요.
“IBM은 요즘 뭐 해요?”
솔직히 처음 이 질문을 받았을 때 조금 당혹스러웠습니다. 이런 질문이 나오는 건, 아마도 IBM이 일반 소비자용 시장에서 손을 뗐기 때문에 그럴 겁니다. 많은 분들이 기억하고 계시듯이, IBM은 몇년 전 PC 사업부를 중국 lenovo에 매각했습니다[footnote]그래서인지 제가 입사 후 지급받은 랩탑을 포함, 사내에서 사용하는 랩탑들은 기본적으로 lenovo 제품입니다. 제 멘토를 포함, mac을 쓰시는 분들도 많지만요.[/footnote]. 하지만 PC라는 물건 자체가 IBM의 손에서 탄생한 물건이다보니, 많은 소비자들 눈에는 IBM=PC 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습니다. “PC도 안 만드는데 이젠 뭐 하지?” 하는 생각을 하시는 것도 어찌보면 당연하다 하겠습니다.
저도 그렇지만, 우리네 소비자들은 직접 접하는 몇몇 회사 이외에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서,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은 아이폰을 어느 회사가 만드는지 아실 겁니다. 아이폰을 누가 조립하는지도 알고 계시겠죠. 하지만 어떤 회사들이 부품을 대는지, 생산설비를 판매하는지는 모르실 겁니다. 이 회사들은 기업용 상품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제가 여기서 하고있는 일은…
그럼 제가 하는 일은 무엇일까요? 제가 있는 오스틴 연구소는 전세계에 있는 11개의 IBM 연구소 중 하나[footnote]http://www.research.ibm.com/[/footnote]입니다. 하지만 제가 다 알지도 못할 정도로 많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제가 배치된 팀은, 기업용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관련 연구를 하는 팀입니다. 아래 글쓴이 소개에서 밝혔듯이, 저는 대학원에서 검색(Information Retrieval)을 공부했습니다. 다들 한 번씩은 들어 보셨을 듯한 google의 PageRank 알고리즘이나 Amazon.com의 상품 추천 시스템 같은 분야가 이 쪽 분야의 연구[footnote]최근에는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에 대한 연구들도 이 쪽 field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footnote]지요. 그런데 이 쪽 분야가 워낙에 대규모 데이터를 다루는 일이 많다 보니,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코드를 작성할 일이 잦았고 또 익숙합니다. 그러다보니 여기서도 자연스럽게 빅데이터 관련된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위 포스트의 내용은 글쓴이 개인의 의견일 뿐이며, IBM의 공식 입장과는 상관이 없음을 밝힙니다.
*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