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블릿이 고객의 주문을 받을 수 있을까?”

“태블릿이 고객의 주문을 받을 수 있을까?”

지난주 <월스트리트 저널>을 읽는데 이런 제목의 기사가 눈길을 끌었다. 버지니아비치의 한 컵케이크집 주인이 고객의 주문을 받는 10명의 종업원을 태블릿컴퓨터를 이용한 무인주문시스템으로 바꾸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현재는 종업원에게 시간당 7.25달러를 주고 있는데 오바마 대통령이 추진하는 대로 최저임금이 9달러로 올라갈 경우 채산성이 악화될 것을 우려해서라는 것이다.

보스턴의 파네라브레드 매장에 있는 아이패드 주문시스템. 주문하고 카드로 결제하고 오른쪽의 번호 페이저를 가져가면 된다.
보스턴의 파네라브레드 매장에 있는 아이패드 주문시스템. 주문하고 카드로 결제하고 오른쪽의 번호 페이저를 가져가면 된다.

이 기사를 보자 얼마 전 보스턴의 파네라브레드라는 빵집에 갔던 일이 기억났다. 오랜만에 가본 그 가게엔 사람이 주문을 받는 계산대가 절반 이하로 줄고 그 자리에 아이패드를 이용한 주문시스템이 대신 자리잡고 있었다. 화면 위의 음식 사진을 눌러 주문하고 신용카드를 긋고 번호표를 받아가면 음식을 테이블로 가져다준다. 생각보다 사용이 간편했다.

The Golden Gate Bridge Toll Plaza (photo by Isabel Angell)
The Golden Gate Bridge Toll Plaza (photo by Isabel Angell)

지난주에는 또 샌프란시스코의 금문교가 요금징수소의 직원을 모두 없애고 완전 무인화된다는 뉴스가 화제가 됐다. 카메라가 차량번호판을 촬영해 자동으로 차 주인에게 요금청구서를 우편으로 보내는 방식이다. 금문교는 이렇게 해서 향후 8년간 1600만달러의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뉴스에서는 수십년간 일하던 일터를 잃게 된 요금징수원의 아쉬움과 함께 이런 무인징수시스템이 머지않아 미국의 모든 유료도로와 교량에도 적용될 것 같다는 전망이 뒤따랐다.

지난해 8월 우연히 101고속도로에서 만난 구글의 무인자동차.
지난해 8월 우연히 101고속도로에서 만난 구글의 무인자동차.

심지어 뉴스에 따르면 햄버거고기를 뒤집는 로봇도 개발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한다. 2000만원에서 3000만원 사이에 구입할 수 있는 로봇이 인간이 하는 단순한 일을 대체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요즘 실리콘밸리의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가끔 구글의 무인운전자동차를 만나기도 한다. 일정 속도로 안정감 있게 주행하는 그 차를 보면 앞으로 버스나 택시운전사가 사라질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한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컴퓨터로 인한 자동화와 급속히 발전하는 로봇기술이 인간을 단순작업에서 해방시켜줌과 동시에 저임금 노동자의 일자리도 빼앗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추세는 스마트 기기 혁명과 함께 인간이 인간과 대면하고 대화할 기회가 점점 더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점이나 음식점에 갔을 때 당신의 이름을 기억하고 불러주고 안부를 나눌 사람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 상점에 설치된 태블릿컴퓨터가 당신을 맞아줄 것이다. 카메라로 당신의 얼굴을 인식해 인공음성으로 이름을 불러주고 당신이 선호하는 메뉴를 알아서 추천해주게 될 가능성이 크다.

상대방을 앞에 놓고도 스마트폰 화면과 대화하는 것을 더 편해하는 요즘 세대의 아이들에게는 이런 세상이 더 편안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기계와 대화하는 것은 즐기면서 인간과 직접 대면해 이야기하는 것은 불편하게 느끼는 사람이 늘어날 수 있다.

앞으로 올 수십년 뒤의 세상은 과연 어떻게 될까. 기술의 진보가 인류에게 더욱 편안한 삶을 보장해주는 것일까? 디지털혁명이 가져온 혁신을 즐기며 신봉해온 나였지만 요즘은 인터넷, 휴대전화 없이도 잘 살았던 수십년 전을 돌아보면서 혁신과잉의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

그렇다. 태블릿이 고객의 주문을 받을 수는 있다. 하지만 인간의 일자리는 급속히 사라지고 있으며 인간은 더는 인간과 대화하지 않는 시대로 돌입하고 있다.

이런 세상에서의 인간으로서 경쟁력을 유지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기계가 하지 못하는 비판적 사고능력을 키우며 역설적으로 인간과 효과적으로 대화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미래를 대비해 단순지식을 암기하는 것보다 이런 능력을 키우는 쪽으로 교육의 방향을 바꿔야 할 것이다.

/2013년 4월2일자 한겨레지면에 실린 칼럼입니다.

글 : 에스티마
출처 : http://estima.wordpress.com/2013/04/02/automation/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