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의 한국인들의 이야기 ‘51 컨퍼런스’ 참관기

7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 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51 컨퍼런스가 열렸습니다. 51 컨퍼런스는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는 한국인들이 이야기를 나누고 공감하고 소통하는 시간이었는데요.

이런 컨퍼런스가 있었나 싶을 정도로 진지하고 유쾌한 시간의 연속이었습니다. 해당 컨퍼런스는 ‘실리콘밸리의 한국인’이라는 프로그램으로 한국에서 3~4명이 짧은 시간 내에 급하게 쏟아내어야 했던 그들의 이야기를 보다 많은 사람들과 교감할 수 있도록 한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그 의미의 궤적들을 찬찬히 다시 한번 짚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그림1

컨퍼런스는 ENGINEERING, CAREER, STARTUP 의 세가지 세션으로 나뉘어 3일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세가지 세션의 주제는 현재 시점에서 가장 청중들의 수요가 많을 것으로 조사된 내용입니다. 한 연사가 하나의 세션을 담당해 강연 후 질의응답을 통해 청중들과 교류하도록 시간을 구성하였습니다. 실리콘밸리에 있는 유수 기업에 다니는 스피커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내는 것은 한국에서도, 이곳에서도 유래가 없던 진귀한 기회임이 분명했는데요. 청중들은 그들의 이야기를 매우 주의 깊게 듣고 하나라도 놓치지 않으려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행사를 컨퍼런스라고 해야할지 강의라고 해야할지 아니면 또 다른 무엇이라고 해야할지 하는 고민이 들 정도로 색다른 장이었던 것은 확실합니다.

그림2
51 컨퍼런스 스피커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박용호 위원장, MBN 장승준 대표, 51Foundation 윤종영 대표의 축사를 (Congratularoty Remark) 를 시작으로 컨퍼런스가 시작되었습니다. 참가자로 가득한 메인홀에서 3명의 연사가 나와 짧게 컨퍼런스를 축하하는 인사말을 건네고, 각 세션으로 나뉜 스피커들의 이야기로 본격적인 컨퍼런스가 시작되었습니다. 총총 걸음으로 각자가 듣고 싶은 세션의 장소로 이동하는 참가자들의 모습은 기대에 가득차 있었습니다. 마지막까지도 어떤 세션을 들어야 하는지 고민하는 참가자가 있었을 정도로 각 주제는 매우 흥미로웠고, 실제로 그런 이야기를 피드백으로 많이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림3
컨퍼런스 Congratularoty Remark

많은 세션이 진행됐지만 그 중에서 참가자들의 피드백이 좋았던 몇 가지의 내용을 공유합니다. 모두 좋은 세션이었기에 몇 가지만 택해 전달할 수 밖에 없다는 점 이해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스피커분들에게도 양해 말씀드립니다

서준용님의 ‘Do I need VISA to work in the States’

서준용님의 세션은 참가자들이 숨죽이며 들었던 세션으로 유명합니다. 스피커인 서준용님의 비자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EB-1,2,3,4,5, H1B 등 다양한 형태의 비자에 대해 설명하고, 여러가지 팁을 이야기했습니다. 특히 영주권 발급 후 ‘일반적으로 6개월은 현직장에 머무는 것을 추천’ 하며, 그 이유는 스폰서가 영주권을 받기 위해서 이용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영주권을 revoke 할 수 있다는 그의 언급은 비자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모를 뿐더러, 쉽게 생각하기 쉬운 참가자들에게 좋은 정보가 되었습니다. 실제로 참가자들에게 가장 손꼽히는 세션을 물어볼 때 서준용씨의 세션은 항상 들어있었고,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는 응답이 많았습니다. 미국에서 일하는 것은 개인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환경의 도움과 같은 여러가지 요소가 작용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는 세션이었습니다.

김정은, 김민정님의 ‘Career Coaching – Designer’

이 세션은 디자이너들에게 매우 높은 평가를 받은 세션입니다. AIRBNB와 YOUTUBE, YAHOO, Pay Pal 등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김정은님과 Coursera 에서 디자인 매니저를 맡고 있는 김민정님의 Co-Session 이었던 이 시간은 전반부는 김정은님의 ‘디자이너’에 대해 이야기와 후반부는 김민정님의 ‘커리어’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예술과 기술의 융합이라 말할 수 있다. 자신의 디자인 공간을 창출해내고, 상상해내고, 이를 표현해내는 것이 디자이너의 일이다.’라는 김정은님의 이야기는 많은 디자이너들의 환호성을 이끌어냈습니다. 더욱이 기능으로서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결국 중요한 것은 디자이너들의 일은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방법을 생각해내는 것이다’ 라는 보다 종합적인 관점의 디자인의 정의는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가지고 되었다는 평가로 이어졌습니다. ‘디자이너들은 뭐가 좋은지 나쁜지 명확하게 알아야 하고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이후 어떠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인지 하고 있어야 한다. 더불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기술이 있어야 하고, 겸손함을 겸비 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의 겸손함은 어떠한 일이 생겼을 때 그것을 받아드릴 수 있어야 한다.’ 는 김정은님의 이야기 역시 기억에 남는 이야기로 꼽혔습니다.

김민정
김정은님

이어진 Coursera의 디자인 매니저인 김민정씨의 후반부 강의도 매우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현재 자신이 일하고 있는 Coursera 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Coursera 가 굉장히 작은 규모일 때 합류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은 회사에서 많은 일을 감당하며 더 많은 정보와 보다 규모 있는 경험을 하게 된 이야기를 통해 작은 회사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는 것은 경우에 따라서 좋은 경험이 될 수 있다는 경험적 조언을 건넸습니다. 개인이 창업을 하거나 다른 회사를 가서 자신의 분야와 다른 경우를 마주치더라도 잘 적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 그것의 장점이라고 이야기하면서 말이죠. 뒤에 이어진 질의응답시간은 컨퍼런스에서 가장 질의응답의 요청수가 많았던 세션으로 평가됩니다. 그만큼 참가자들이 몰입했고, 의미있게 얻어간 세션이었다는 반응으로 보아도 좋을 것입니다.

최석준, 켈리정님의 Compensation Structure and Employee Value Proposition

실리콘밸리의 연봉구조 및 직원들의 가치제안에 대한 세션이었습니다. 구성원으로서 어떻게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고 어떠한 가치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 두 분이 나누어 설명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직원 가치 제안은, ‘이 직원이 어느 정도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지의 여부’ 로 정의한다고 합니다. 실제로 실리콘밸리에서는 회사와 계약을 할 때 자신의 가치에 대해 잘 알고 이를 바탕으로 계약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언급도 있었습니다. 같은 회사라도 지역과, 기여도 등에 따라서 급여는 많이 달라지며, 그렇기 때문에 회사와 계약을 할 때에는 ‘주는대로 받겠다’는 수동적 태도가 아니라 자신의 시장가치에 대한 파악을 전제로 능동적으로 연봉을 커뮤니케이션해야 한다고 합니다. 더불어 자신의 가치를 파악하고 이를 키워갈 있는 방법도 제시 되었습니다.

1.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안주하지 않고, 직장에서 어떠한 일을 할 수 있을 때 그 기회를 저버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노력을 하여 발전을 시켜야 한다.
2. 인맥을 넓혀야 한다. 고리타분한 것일 수 있으나, 사람들과 얘기하며 자신의 직장과 관련이 없더라도, 몰랐던 것을 알 수 있다.
3. 보스를 무서워하지 말라. 자신의 보스는 직책이 높은 만큼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 고로, 자신이 발전하기 위해 더 알아가야 하고 친해져야 한다.
4. 새로운 문화에 잘 맞춰 가야 한다. 각 회사마다 다른 문화를 갖고 있고, 이도 계속 발전해 나아가고 있기에 잘 맞춰 나아가야 한다.
5. 내가 존중받는 것을 당연시하지 마라. 남을 무시하지 말고 매사에 상호 간에 존중이 필요하다.

더불어 실리콘밸리 회사의 복리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이곳은 주거비용과 물가가 비싸기 때문에 연봉 이외의 여러가지 인센티브가 회사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을 할 때 월급에서 일정금액을 묶어 저축하고, 퇴직 시에 연금으로 되돌려 받는 제도인 401K, 회사가원하는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일을 할 시에 그 회사의 주식을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ESPP, 각종 Insurance, 정신적 혹은 운동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Wellness Program 이 연봉 이외의 인센티브로 제공된다고 합니다. 이런 인센티브 역시 회사 선택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희상님의 Career coaching – Product Manager

프로덕트 매니저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룬 세션이었습니다. 프로덕트 매니저에 대해 관심이 있는 참가자들에게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는 피드백이 많았습니다. ‘선수들이 경기에만 집중할수있게 서포트 해주는 일이 프로덕트 매니저라 할수 있다’는 주희상님의 정의는 많은 공감을 이끌어냈습니다. 실제로 일하면서 전략을 구성하고 결과를 좋게 이끌어야 하는 동시에, 결과가 좋지 않다면 그 구멍을 메꿀 수 있어야 한다는 언급은 실제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에서 유연성의 중요성을 느끼게 하기도 했습니다.

어떠한 사람이 좋은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는가?
1. 감이좋아야한다. 안될 것을 빠르게 파악하고 될 것들을 구별해 내야 한다.
2. 아이디어는 굳이 중요치 않다. 많은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그 안에서 나온 아이디어들을 될 것, 안될 것 구별해내는 센스가 필요하다.
3. 자기계발. 자신이 할수 있는 일 외에도 다른 분야에 일도 할 수 있다면 그것은 본인에게 있어 플러스가 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리더쉽을 요구하는 직업으로서, 팀내에서 일이 진행되는 것을 파악하고 잘못된것이나 문제 거리를 빠르게 판단 할 수 있어야 한다.

3일에 걸쳐, 30개의 세션과 이틀간의 강의를 바탕으로 디지인씽킹 방법론을 사용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아이디어톤을 마지막으로 공식적인 51 컨퍼런스가 마무리되었습니다. 참가자의 대부분인 학생들의 인터뷰해보니 ‘실리콘밸리에서 일하고 싶다’, ‘다음에도 또 오고 싶다’는 반응이 주를 이룹니다. 준비하는 입장에서 매우 값진 피드백입니다.

51 컨퍼런스는 작은 관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는 우리가, 이곳에서 이야기를 건네고 이들이 이곳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촉매역할을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서 출발했습니다. 그렇게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연사를 모으고, 장소를 섭외하는 등 세세한 것들은 그 뒤에 바로 이어졌습니다. 영리목적의 행사도 아니고, 누군가 거대한 이득을 보는 것도 아닙니다. 사회에 작지만 선한 영향력을 자아내고 싶다는 목적을 가지고 시작한 공익적 성격의 모임입니다. 심지어 이 컨퍼런스를 위해 처음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의기투합하고, 서로의 속내를 깊이있게 털어놓은 스피커도 있을 정도입니다. 좋은 뜻은 선한 의지로, 그리고 긍정적인 에너지로 이어지는 효과가 있다는 말이 실감이 납니다.

51 컨퍼런스에서 나온 공통된 키워드는 Challenge, Creativity, Change 그리고 Connection 을 꼽을 수 있습니다. 스피커로 나온 이들이 청중들에게 던지고자 했던 메시지가 바로 그것이기 때문입니다. 두려움 없이 도전하고, 창의성을 발휘하고, 변화를 꾀하여 연결을 만들라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컨퍼런스가 한창 준비중인 시기에 비판의 목소리를 들은 적이있습니다. 고위직도 아니고, 회사를 대표할만한 이들도 아닌 것 같은데 이런 컨퍼런스를 해도 되냐는 의문들이었습니다.

컨퍼런스를 준비하며 그리고 이들과 함께 하며 느낀 것은 이들이 전달하고자 했던 건 거대한 성공의 담론이 아니라, 한발 앞서 다른 환경에 도전하고 서 있는 누군가의 이야기를 통해 힘을 얻고 한발짝 새로움을 시도할 용기를 통해 변화를 꾀해보라는 응원의 메시지가 아닐까 하는 것입니다. 연결의 시대라고 하지만, 외로운 현실을 살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가까이에서 손을 잡고, 현실에 기반한 긍정의 도움을 꾀하는 것이 그들의 마음이었다고 하면 과장된 말일까요. 제가 느끼기엔 그랬습니다. 이제 갓 첫 번째 컨퍼런스를 끝내고 벌써부터 두 번째를 준비하는 이들의 마음은 참 따뜻합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