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우 숨만 쉬고 있다…스타트업 ‘암흑기’”. 코로나 발발 이후 스타트업의 상황을 바로 알 수 있는 한국경제의 9월 기사 제목이다. 이처럼 코로나-19가 발발하며 벤처캐피털업계는 시드, 시리즈 A 등 초기 단계 투자에 더욱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도 중단되거나, 그 규모가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모든 스타트업이 불황을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여행업이나 대면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투자 하락세를 보이는 반면, 환경 문제에 대한 대중의 경각심과 스마트 도시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모빌리티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 투자 분야로 떠올랐다. 특히, Pitchbook이 지난 5월 발표한 Mobility Tech Q1 2020 보고서에 따르면 VC사들은 전 세계 모빌리티 스타트업에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한 약 118억 달러를 투자하는 기록을 세웠다.
모빌리티는 어느덧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가 되었지만, 정확히 어떤 뜻인지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영어 단어 Mobility는 사전적인 의미로서는 (사회적) 유동성, 또한 이동성과 기동성을 뜻한다. 그리고 현재 문맥적으로 사용되는 모빌리티의 뜻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데 기여하는 각종 서비스나 이동수단을 폭넓게 일컫는 말이다. 쉽게 말하면 ‘목적지까지 빠르고 편리하며 안전하게 이동’하게 하는 기술로 이동 수단과 이동 수단 관련 다양한 서비스 분야가 모빌리티 산업에 포함된다. 2020년 10월, 맥킨지는 수많은 모빌리티 산업 중 특히 더 관심을 받고 있는 트렌드로 자율주행기술, 전기차 기술, 그리고 공유 모빌리티를 꼽았다. 그리고 트렌드에 부합하게 이 세 분야의 기업들은 Pitchbook에서 발표한 투자 금액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양해지는 자율주행 기술과 용도
자율주행 기술은 완성차 시장에서 수년간 주요 기술로 인식되며 발전을 거듭해왔다. 최근 자율주행 기술이 미래 자동차산업을 이끌 선도적 기술로 주목받으면서 세계 각국 정부 및 기업들이 기술개발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요 완성차 기업이 위치한 독일 정부는 2022년부터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를 허가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소비자용 자동차 이외에도 자율주행 기술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눈 여겨 보아야 할 부분이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의 비중이 커지며 화물과 배달 서비스 등 B2B 용도로도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사용성이 커지고 있다.

Waymo서비스 차량들. [출처]_Waymo
이밖에도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Nuro도 이커머스 거래가 급증하며 5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의 눈에 띄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전기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더욱 똑똑해지다
전기차는 사실 180년 전 이미 발명되었다. 1834년 스코틀랜드 로버트 앤더슨이 발명한 ‘원유전기마차’가 인류의 첫 전기차로 알려져 있다. 1910년까지 전기차는 상용화되었으나 가솔린차가 시장을 장악하게 되며 전기차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 그 뒤 100년이 지난 지금, 고유가 시대가 도래 했다. 그리고 엄격해진 배기가스 규제로 인해 다시 전기차는 각광받기 시작했다.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개발이 시작된 전기차는 매년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며 2020년인 지금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다. 상용화에 따라 전기차 분야에 필요한 기술도 세분화되기 시작, 대기업이 개발하기 어려운 특정 분야의 전기차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 투자 대상으로 각광받고 있다.

Envoy 로고. [출처]_Envoy 홈페이지
공유 서비스, 퍼스널 서비스 역량 강화
공유 모빌리티는 코로나 사태 이후 비대면 접촉이 선호되며 하락세를 보였으나, 개인 모빌리티 서비스 관련 기술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공유 스쿠터나 자전거 등이 국내 대비 빠르게 상용화된 유럽 지역에서는 개인 모빌리티 산업인 마이크로-모빌리티 기업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TIER의 전기스쿠터와 전동킥보드. [출처]_TIER 홈페이지
그렇다면 국내의 사정은 어떨까? 국내 모빌리티 시장도 해외와 마찬가지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트렌드도 글로벌 방향성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공유 서비스의 안정화 및 세분화
2020년 11월 오토타임즈의 조사 결과와 오픈서베이의 모빌리티 2020년 조사에 의하면, 2012년 국내 자동차 공유 업체가 서비스 시작한 이후 업계는 안정적으로 회원을 확보하며 그 규모를 키워오고 있다. 특히 기존에 20대 이용자가 다수를 차지했던 가입자 평균 연령도 최근 30대를 넘어서면서 3040세대까지 ‘공유’ 트렌드가 확산됐다는 분석이다.

쏘카 서비스 화면. [출처]_쏘카 홈페이지

포티투닷 로고. [출처]_포티투닷 홈페이지
전기차 세부 기술 역량 보유한 스타트업 주목받아
앞에서 언급했듯이 전기차는 주요 완성차 브랜드의 중점 사업이다. 국내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인 현대자동차를 포함한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는 전기차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육성하거나, 인수하는 방식으로 그 경쟁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포엔 로고. [출처]_현대자동차 블로그

스타코프 차지콘. [출처]_스타코프 홈페이지
자율주행, 더 정확해지고 똑똑해지다
자율주행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했으나 한계점은 분명히 있었다. 특정 상황 이외 다양한 환경에서 자율주행 차량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균일하게 제공하는 센서가 없었던 것. 따라서 자율주행차량은 상호보완이 가능한 여러 종류의 센서를 활용하게 되지만 레이더가 인지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어 안전 부분에 영향을 주었다.

에스오에스랩의 라이다 제품. [출처]_에스오에스 홈페이지
그렇다면 향후 상황은 어떨까. 지난 10월 V4 경제통상포럼에서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의 부회장은 “한국 정부는 그린 뉴딜 정책과 발맞춰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확대를 핵심사업으로 지정하였는데 미래차 분야 경쟁이 치열한 현재, 누가 선도기업이 될지는 아무도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우 부회장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누가 모빌리티 산업을 이끌어나갈지는 아직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모빌리티 산업은 다양해지고, 세분화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결국 소비자의 편의를 개선하고,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가진 기업이 선두주자가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