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품 대체 서비스 ‘트래쉬버스터즈’, 투자 유치

국내 일회용품 대체 서비스의 선두주자인 ‘트래쉬버스터즈(대표 곽재원)’는 프리 시리즈A 투자 유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4일 밝혔다. 투자는 스트롱투자벤처스가 리드하였으며, 베이스인베스트먼트, HYK 파트너스가 함께 참여했다.

2월 다회용기 사용 누적 사용 200만 회를 달성한 트래쉬버스터즈는 재활용이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하고 오염에 강한 소재를 활용한 컵을 제작, 대여하는 다회용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전자 미래캠퍼스, 광화문 KT 사옥, 현대그린푸드, LG 전자, 안랩 본사 등 대규모 기업체를 포함한 고객사에 일 20,000개 규모로 서비스를 공급 중이며 그 외에도 30개의 대기업들이 현재 도입을 준비 중이거나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반기 일 30만개 규모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트래쉬버스터즈는 2019년, 축제에서 발생하는 일회용품을 줄이기 위해 시작된 스타트업으로 런칭 3달 만에 축제와 행사 예약이 200건에 달할 정도로 빠른 성장을 하며 출발했다. 이후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2021년 4월부터 기업 대상으로 다회용컵 대여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었고, 사내카페 모델 도입 11개월 만에 다회용기 누적 사용량이 200만 개를 초과했으며 월 사용량이 40만개를 넘는 서비스로 성장했다.

트래쉬버스터즈의 서비스는 다회용컵을 파트너사에 대여하고, 사용자가 이용 후 반납하면, 직접 수거하고 살균 세척하여 다시 제공하는 프로세스로 운영되고 있다. 트래쉬버스터즈의 다회용기는 수거 후에 트래쉬버스터즈가 직접 설계한 총 6단계 세척 및 살균 과정을 거친다. 이를 통해 일회용품보다 안전한 위생수준을 구현하여 신뢰도 높은 품질을 유지하고 있다.

서울시 축제 감독 출신의 곽재원 대표와 브랜딩 디자인 회사 CEO 출신 최안나 CBO, 시설운영팀을 맡고 있는 곽동열 CCO가 창업팀 멤버로 시작하였으며 금번 투자금으로 B2B 영업부터 오퍼레이션까지 다양한 포지션의 인재들을 영입하고 자체 개발중인 스마트 세척공장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트래쉬버스터즈는 자체 세척공장을 통해 시간당 컵 세척량 상승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스마트 자동화 설비 개발 및 세척 허브-물류 인프라 구축을 통해 현재의 약 1/20 수준으로 원가를 절감, 고객에게 더욱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회용품 대체 다회용기 시장은 소비자의 니즈를 기반으로 다양한 세척 대행 서비스 업체들이 진입하고 있다. 그 중 트래쉬버스터즈는 시장에 초기 진입한 업체 중의 하나로, 다회용기 대여 서비스와 스마트 세척 솔루션을 기반으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곽재원 CEO는 “트래쉬버스터즈는 일회용품 대체 서비스를 통해, 물건을 함부로 사용하지 않고 소중하게 생각하는 문화가 자리잡길 바란다” 고 말하며, “환경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 딱딱하고 진지하기보다는, 즐겁고 재밌게 함께할 수 있는 브랜드가 되고 싶다. 효율과 기술적으로도 내실 있는 서비스를 구축하여 경쟁력을 가지고 재사용 비즈니스를 확장, 앞으로 한국 순환경제 모델의 선두주자로서 자리매김할 것” 이라고 말했다.

이번 투자를 리드한 스트롱벤처스의 조지윤 수석심사역은 “전세계적으로 일회용품 사용 제한 규제가 강화되고 국내에서도 환경문제 인식이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의 성장은 불가피하다”며 “트래쉬버스터즈는 사용자와 파트너사에게 재미와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실제 일회용 쓰레기를 줄이는 효과를 내며, 자체 R&D 및 인프라 확충을 통해 트래쉬버스터즈 팀이 빠르게 시장을 점유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투자했다”고 전했다.

트래쉬버스터즈는 B2B 서비스 모델 뿐만 아니라 소비자 경험을 위한 현장 캠페인과 컨텐츠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활동도 다양하게 전개한다. KT, 르꼬끄, 포카리스웨트, LG U+, 출판사 창비 등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도 성공적으로 진행했고, 서울숲 재즈 페스티벌, 위대한 상상 사내카페, 2021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 등 현장 캠페인에서도 트래쉬버스터즈만의 브랜드 경험을 소비자들에게 전하고 있다.

또한 2022년 상반기 대기중인 대형 파트너사들에 맞춰 서비스 물량 확보와 영업 확대를 준비하고 있으며, 공연, 축제, 경기장 시장이 풀리면서 추가로 약 100억 규모의 매출 상승도 예상된다. 올해 수도권 소재 사내 카페에서 소비되는 일회용품의 50%를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2023년부터는 지사 설립을 통해 서비스 영역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관련기사더보기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