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인터넷의 역사를 살펴 보면서, 인터넷이라는 것은 처음 시작할 때부터, 발전해가는 도도한 역사의 흐름에 개방과 공유라는 정신이 아로새겨져 있다는 것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인터넷의 이런 개방성이 최근 위기다. 가장 커다란 사건은 2013년 미국의 정보기관인 국가안보국(National Security Agency, NSA)가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의 주요…
지금까지 인터넷의 역사를 살펴 보면서, 인터넷이라는 것은 처음 시작할 때부터, 발전해가는 도도한 역사의 흐름에 개방과 공유라는 정신이 아로새겨져 있다는 것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인터넷의 이런 개방성이 최근 위기다. 가장 커다란 사건은 2013년 미국의 정보기관인 국가안보국(National Security Agency, NSA)가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의 주요…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감청프로그램을 이용해 전세계 인터넷 서버를 안방처럼 드나들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NSA가 국가를 대상으로 감청해온 것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자의 활동까지 감시해왔다는 것이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31일(현지시간) 러시아로의 임시망명을 모색중인 에드워드 스노든으로부터 입수한 NSA의 교육자료를 공개하고 NSA가 ‘엑스-키스코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전 세계 인터넷 이용자의…
<이전 포스트: ‘청중’이 ‘나’를 정의한다> 검색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세상이다[Steven Levy, In the Plex, Simon & Schuster, 2011]. 우리는 스스로를 기꺼이 공개한다.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드인, 블로그를 통해 친구는 누구이고 직업은 무엇인지, 무슨 생각을 하는지, 무엇을 먹고 마시는지도 공개한다. 사회적으로 존재하고 싶은 나는 더 많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