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 유지가 아닌 기업에 필요한 핀포인트 지원 필요”

[서울시창업지원정책, 전문가에게 묻다 ⑧] “확실히 바뀐 분위기를 체감한다” 목진건 스파크플러스 대표는 “2011년 창업을 했을 당시만 해도 창업 정책이 정부 주도로 이뤄졌다면 이제는 민간을 많이 믿어주는 분위기”라고 봤다. 창업 정책 기조가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이 지원하는 방향으로 재편되면서 공공과 민간이 손잡고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서울시 산하 서울창업허브는 지난해부터 33개 벤처캐피탈과 액셀러레이터와 손잡고 스타트업을 발굴, 지원하고 있다. 벤처캐피탈과 액셀러레이터가 심사 단계에 참여해 성장 가능성 높은 기업을 선발하면 공공이 이들 기업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이 같은 방식으로 발굴한 기업은 62개사다.

목 대표는 “기조가 바뀌었다면 이제 세부적인 건 공공과 민간이 경험을 통해 바꿔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큰 틀에서 보자면 민간이 다루지 못하는 생태계 내 빈 곳을 채워나가는 게 공공의 몫이다. 초기 기업에 인프라를 지원하거나 기업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는 것도 여기에 해당한다.

이후 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을 ‘증명’해야 할 때는 민간으로 무게추가 기운다. 고객 접점에서 시장에 기민하게 움직이는 건 민간이 상대적으로 잘하는 일이다. 공공이 기업이 자신의 성장성을 증명하는 단계까지 지원 정책을 펼친다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우려다.

“7년 동안 생존을 시켜주는 게 아니라 7년 동안 7번 도전이 중요하다” 목 대표는 “공공이 생존 단계를 지나 증명 단계에 있는 기업에 과도한 지원을 한다면 오히려 좀비 기업을 양산할 수도 있다”며 “생존을 유지 시켜주는 방향이 아니라 기업에 필요한 핀포인트 지원이 유효할 것”이라고 봤다.

업력이나 연령 등 지원 기준을 일괄로 정하는 것보다 기업의 결을 보는 일이 중요하다. 예컨대 7년 이상 기업이라도 피봇을 통해 시장을 찾으려고 시도했다면 아직 초기 기업에 머물러 있을 수 있다. 대신 기업이 실패를 통해 얼마나 진화했는지를 살핀다면 유효한 지원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투자와 관련, 민간 기업이 위험을 부담하기 어려운 부분에 공공이 먼저 참여해 끌고 나가는 방식도 가능할 것으로 봤다. 서울시 산하 서울창업허브 사례가 여기에 해당한다. 재도전 기업에 투자하고 서울혁신펀드 조성으로 4차 산업혁명 분야 투자를 유도한다. 목 대표는 “공공에서 잘 운영한다면 성공사례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며 “아직 시장이 형성되지 않아 장기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분야도 공공이 참여하기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목 대표는 “민간에도 충분한 자원이 있다”며 “민간 자원을 많이 활용해달라”고 제언했다. 공공이 창업 생태계 모두를 조성하는 건 불가능할뿐더러 공공과 민간이 각자 잘 할 수 있는 영역이 다른 만큼 함께 한다면 시너지가 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스파크플러스 역시 지난해 캠코와 코이카, 디자인진흥원 등 공공기관과 손잡고 혁신 창업 생태계 조성에 참여했다. 공간 사업 노하우를 토대로 스타트업에 가장 필요한 공간을 마련한 것. 목 대표는 “민간에서 창업자와 중견기업, 기관을 연결하는 하나의 에코시스템을 만들고 있다”며 “민간에 축적된 경험과 자원을 많이 활용해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시창업지원정책, 전문가에게 묻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