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사와 감사, 겁 먹을 필요가 없다

이제 막 성장하고 있는 회사들은 경험이 많지 않다. 처음 해보는 것 투성이라 자연스레 질문이 많을 수 밖에 없다. 스타트업 감사 실사 시에도 예외는 아니다. 스타트업은  감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어떤 질문을 가장 많이 할까.

Q1. 실사나 감사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단어 자체가 압박입니다.

우선 실사와 감사의 차이부터 이해해야 한다. 두 업무는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 큰 차이가 있다. 목적부터 다르다.

실사의 목적은 “너를 잘 알고 싶어”인 점을 알아야 한다. 어떤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지, 재무상태와 손익현황이 어떠한지, 주주구성이 어떻게 되는지, 회사 조직 및 시스템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장점과 단점이 무엇이 있는지 등등. 정해진 형식이나 틀이 없다. 그저 회사에 대해 잘 알고 싶은 특정인의 요청으로 기업실사를 하게 되고, 당연하게도 실사 업무를 가장 많이 의뢰하는 주체는 “잠재투자자”다.

감사의 목적은 “너네 재무제표 잘 만들고 있는지 알고 싶어”이다. 그래서 회사 전반적인 내용보다는 회계, 재무제표에 포커스를 맞추고 하는 업무다. 재무제표에 문제가 없는지, 돈의 흐름이 적절하게 기록되어 있는지, 손익 계산에 문제가 없는지 등등. 감사는 정해진 형식과 틀이 존재한다. Dart에 공시된 다양한 감사보고서를 보면 알겠지만 대부분의 감사보고서 큰 틀은 거의 유사하고 거기에 적절한 숫자와 내용을 끼워 맞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감사는 법에 따라 반드시 받아야 하는 회사도 있고(외감대상), “기존투자자나 채권자”의 요청으로 업무를 하는 경우가 많다.

Q2. 실사와 감사 중 뭐가 더 힘든가요?

경우에 따라 다르다. 실사도 실사 나름의 깊이가 다르고, 감사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투자유치나 딜(Deal)을 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실사는 투자유치 금액과 딜 규모에 따라 실사 깊이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투자금(혹은 매각/인수대금)이 커지면 커질수록 실사 범위가 넓어질 수 밖에 없다.

감사도 마찬가지다. 아무래도 상장 회사의 감사가 가장 힘들것이고, 임의로 하는 감사는 상대적으로 절차나 깊이가 덜 할 가능성이 높다.

Q3. 잘못한 건 없는데 괜히 걱정됩니다. 괜찮을까요?

실사나 감사를 준비중인 대부분의 회사 속마음이 이렇지 않을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걱정할 필요 없다.

1) 실사를 의뢰한 잠재투자자의 의중을 잘 알아야한다. 잠재 투자자가 회계법인에 수수료를 지급하고 실사까지 맡긴다는 것은 “일단 투자는 하고 싶은데 좀 조심스럽게 한번 살펴볼게”정도가 기본 마인드다. 물론 회사의 약점을 파악하여 협상의 우위를 가져가거나, 투자 자체를 드롭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말이다.

2) 감사도 걱정할 필요도 없다. 감사의 결과는 적정, 한정, 부적정, 의견 거절 정도가 있는데 상장사가 아니라면 감사 결과는 크게 중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특히 감사를 처음 받아보는 회사의 경우 감사를 받기에 적절한 조건을 전부 갖추고 있을 가능성이 아주 낮다. 재무제표에 신뢰성을 담보할 정도로 회계 시스템을 만들어 두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결론은, 감사를 성실하게만 받으면 된다. 감사를 받으면 문제가 해결되고, 회사가 아주 큰 잘못(예컨대 횡령, 배임 등)을 하지 않았다면 감사를 통해 수정하고 개선하면 된다.

Q4. 실사, 감사 나오면 뭘 보는 건가요?

실사는 잠재 투자자가 보고 싶은 것들을 본다. 허무하지만 이게 사실이다. 잠재 투자자가 관심 갖는 포인트가 딜 마다 다르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사항들(비즈니스 모델, 현금흐름, 재무현황, 주주현황, 주요계약내용 등등)을 적절하게 보여줄 수 있으면 된다.

감사는 회사 재무제표를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본다.

  • 실재성 :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산이 실제로 존재하는 게 맞아? 증명해줘.
  • 권리와 의무 : 회사가 가진 자산 소유권이 있는 게 확실해? 다른 사람 거 빌린 건 아니고?
  • 발생사실 : 회사가 주장하는 매출이 진짜 발생한 게 맞아? 그냥 잠깐 빌려온 돈 아니고?
  • 완전성 : 회사가 얘기하는 부채, 채무가 이게 전부야? 어떤 빚이나 채무가 더 있는 거 아닐까?
  • 평가 :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산 제대로 평가한 거 맞아? 예전에 1억 주고 산 건 알겠는데 오늘 (현재) 100원 된 건 아니고?
  • 측정 : 수익 비용 회계 처리 제대로 측정해서 제대로 된 기간에 맞게 처리한거 맞아? 이거 내년 매출 아닌거지? 작년 비용은 아니고?
  • 표시와 공시 : 회사와 관련된 중요한 내용 공시 다 했어?

Q5. 실사, 감사를 대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현실적으로 준비 가능한 것만 나열해 보면 아래와 같다.

  • 과도하게 복잡한 거래와 나만 하는 특이한 거래는 가급적 지양하되, 반드시 필요한 경우라면 전문가와 상의해서 거래하는 것이 좋다.
  • 다양한 거래에서 발생하는 증빙은 (예. 계약서, 세금계산서, 견적서 등) 잘 정리하고 보관해 두어야 한다.
  • 건전한 방식으로, 올바른 사고로 비즈니스를 한다면 걱정할 이유가 없다. 거듭 반복하지만 부정한 의도가 있는 거래만 없다면 어떻게든 다 해결되기 마련이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