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FastCompany.com아프가니스탄의 도시인 Jalalabad 에는 놀랍게도 쓰레기통에서 찾아낸 부품들로 만들어진 초고속 인터넷 네트워크가 있다. 주로 미국에서 건너온 엔지니어들이 주축이 되어 FabFi라는 프로젝트로 구축한 네트워크이다. 이들은 마을 주변에서 보드와 철사, 플라스틱 튜브, 캔 등을 이용해서 약 $60 달러 정도에 FabFi 노드를 만들었다. 영화처럼 느껴지는 이 스토리는 향후 우리 세계의 통신 및 네트워크와 관련한 인프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수도 있다.
FabFi는 MIT Fab Lab과 Center for Bits and Atoms에서 진행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Jalalabad 와 케냐의 3군데 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FabFi 네트워크는 병원 등과 같은 지역사회 필수 인프라에 해당하는 곳들과 지역의 사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금속재질의 메시(mesh) 표면으로 집에서 만든 RF 반사체를 덮고, 라우터를 연결한 뒤 멀리 떨어진 라우터와 ad-hoc(중앙에 어떤 매개 네트워크가 없이 직접 연결) 방식으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반사체(reflector)의 수에는 이론적으로 제한이 없다. 현재 이렇게 구성된 FabFi 네트워크는 Jalalabad 전역을 커버하고 있다.
이 반사체의 전력은 자동차의 배터리를 가지고 공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굳이 지역에 중앙집중식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통신망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이들 네트워크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저렴한 노트북 보급 프로젝트인 OLPC(One Laptop Per Child)도 같이 보급되었는데,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이 위키피디아 등에 접속을 하는 등 지역사회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FabFi 프로젝트가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낙후된 지역의 문제를 크게 해결해주지는 못할 것이다. 그렇지만, 이런 시도가 세계를 조금은 더 살기좋은 곳으로 만들어주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FabFi 와 같은 네트워크는 중앙집중적인 관리가 없더라도 지역사회에서 독자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에서 독자적으로 할 수 있는 자율적인 분산기술들이 저렴하게 많이 보급될 때, 우리 사회의 안전성도 훨씬 좋아지게 될 것이다.
이번 주에는 1.8GHz 주파수 대역을 놓고 KT와 SKT가 치열한 경매전 끝에 1조원에 육박하는 돈을 지불하고 SKT가 해당 주파수 대역을 차지한 뉴스가 꽤 커다란 비중을 차지할 것 같다. 그런데, 과거 IMT2000 시절을 기억하시는 분 계신지? 소위 차세대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의 대가가 당시 1조 5천억원이었다고 한다 (페이스북에서 Juno Park 님의 글에서 인용).…
인터넷은 독립적인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들을 엮어내겠다는 아이디어에서 시작했다. 인터넷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ARPANET은 이를 위해서 기존의 전화망 이외에 위성을 이용한 통신망이나, 지상의 무선 네트워크 등도 포괄해야 했기 때문에 당시 대세를 이루던 전화망 스타일의 서킷(circuit)기반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데이터의 패킷을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이론과 시스템을 만들 필요가 있었다. 또한, 여러 네트워크 기술들과…
우리의 두뇌는 2천억개의 신경세포와 연결된 수백조 개의 시냅스의 집합체로 은하계에 있는 별들의 숫자보다도 1500배나 많을 정도이다. 뇌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그야말로 복잡한 연결 체계다. 이렇게 복잡한 두뇌를 가지고 있음에도 우리는 생각하고 행동하는데 아무런 장애를 일으키지 않으며 더 많은 경험을 하고 더 많은 생각을 할수록 보다 고도화된 개념을 창조하고 그것을…